loading

無限風光在險峰

모든 일에 대한 槪念을 정확히 알고 살면 좋다. 개념은 세상만사 기본이고 핵심이며 생각과 사고와 사유 기준이다. 개념은 추상성과 상징성, 다의성과 위계성, 객관성과 일반성을 갖는다

반응형

'바다의 인삼'인 해삼의 생존법


해삼을 먹는 나라는 지중해 연안의 몇 나라와 동남아, 중국, 일본, 한국 정도다. 우리는 해삼을 ‘바다의 인삼’이라 부르는 데 반해 서양에선 생긴 모습에 따라 ‘바다의 오이’라고 부른다. 해삼은 위기에 처하면 내장을 토해 적(敵)이 먹게 하지만 그래도 살아남아 내장을 재생하는 끈질긴 생명력을 지녔다.
그래도 여름엔 바다 이야기가 안성맞춤이다. 이번엔 바다로 가서 해삼을 잡아보자. 해삼은 영어로는 ‘sea-cucumber’라고 하는데 직역하면 ‘바다 오이’다. 산에 나면 산삼(山蔘)이요, 바다에 살면 해삼(海蔘)이라, 이 ‘삼(蔘)’자가 붙은 것이라면 사족(四足)을 못쓴다. 우리는 먹는 데 정신이 팔려 ‘바다 삼’이라고 이름 붙이는데 저쪽 사람들은 사물을 객관적으로 보아 그것이 오이를 닮았다고 ‘바다 오이’로 표현한다. 임어당(林語堂)께서 하신 말씀이 언뜻 떠오른다. “우리 중국 사람은 물고기를 보면 잡아먹을 생각을 먼저 한다. 서양인은 그것의 발생, 생태를 알고 싶어하는데 말이지.” 우리에게도 딱 들어맞는가?
살아있는 놈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몸이 원통형으로 길고 등짝에는 오돌도돌한 돌기가 나있어 진짜 오이를 빼닮았다. 학자들은 해삼을 불가사리, 거미불가사리, 성게와 함께 극피동물(棘皮動物)에 넣는데, 이미 2300여년 전 ‘생물학의 아버지’인 아리스토텔레스가 동물을 무혈류(無血類)와 유혈류(有血類)로 나눴으며, 해삼을 무혈류로 분류하였다. 기원전(384~322년)에 62세를 산 아리스토텔레스는 그 시대로는 아주 장수했다. 이렇게 위대한 업적을 남긴 생물학자들은 하나같이 오래 살았다. 필자도 그랬으면 좋으련만….
해삼을 먹는 나라가 그리 많지 않아서 지중해 연안의 몇 나라와 동남아, 중국, 일본, 우리 정도라 한다. 그 비싸고 맛있는 해삼을 먹지 않는다니 바보들이 아닌가. 어떤 나라는 그걸 잡아서 비료로 쓴다니 말이다. 예부터 해삼은 혈분(血分)을 돕는다고 한약재로 썼다고 하며 그것말고도 해삼백숙, 해삼알찌개 등 중국요리만도 20가지가 넘는다고 한다.
해삼은 위기에 처하면 내장을 토해내어 그것을 적(敵)이 먹게 하는 자해(自害)행위도 서슴지 않는다. ‘인간 나부랭이’ 자해공갈단이 펼치는 자해와는 의미가 다름에 유의하자. 심하면 도마뱀이 꼬리를 던져주듯이 몸의 일부를 잘라버리니 자절(自切)이라 한다. 속 다 빼주고 살아남아 내장이 새롭게 만들어지는 재생(再生)을 한다니 모질고도 끈질긴 생명력을 지녔다 하겠다.
해삼의 소화관의 끝 쪽, 항문 안에 호흡수(呼吸樹)라는 호흡기관이 있다. 물고기 중에 ‘숨이고기’라는 작은 놈이 이 항문을 들락거리며 살고 있으니, 그들 사이에 누이 좋고 매부 좋은 공생(도움살이)이 일어난다. 큰 고기가 숨이고기를 잡아먹으러 달려들면 재빨리 해삼 똥구멍으로 쏙 들어가버리니 잡아먹을 수가 없다. 게다가 해삼은 독이 있어 언감생심(焉敢生心)이고. 이렇게 숨이고기는 해삼한테 톡톡히 신세를 지는데 어떻게 그 빚을 갚는가. 그렇다. 숨이고기가 항문으로 들락거려서 바깥의 새 물(水)이 들어가고 속의 더러운 물이 나감으로써 호흡수에서 깨끗한 공기(산소)를 얻을 수 있다. 분명한 것은 세상에는 공짜가 없다는 것이다.
숨이고기가 아닌 놈이 항문에 침입했다면 맹낭(盲囊)을 터뜨려 독을 뿜는데 눈도 코도 없는 해삼도 적과 동지를 귀신같이 알아낸다. 포식자들은 언제나 피식자의 내장을 좋아하는지라 물고기들이 해삼(맹낭)이 분비한 점액 덩어리를 냉큼 먹어 치운다. 점액에는 홀로수린스(holothurins)라는 독소가 들어 있어서 한번 크게 당한 물고기는 다시는 해삼에게 접근조차 하지 않는다. 어느 생물이나 다 제 몸을 보호하는 방어장치를 가지고 있더라!  | 글 : 권오길 (강원대학교 생명과학부 교수)


海蔘生存法


吃海蔘的國家只有地中海沿岸的幾個國家和東南亞、中國、日本、韓國。 我們把海蔘稱爲"大海的人蔘",而西方國家則根據海蔘的模樣稱之爲"大海的黃瓜"。 海蔘在面臨危機時,會吐出內臟,讓敵人吃掉,但即使這樣,它仍然具有生存下來、再生內臟的頑強生命力。
即便如此,夏天還是適合大海的故事。 這次去海邊抓海蔘吧。 海蔘在英語中被稱爲"sea-cucumber",直譯就是"海黃瓜"。 在山上就是山參,生活在海里就是海蔘,如果是貼有"膠囊"字的,就不能使用四足。 我們只顧着吃東西,所以取名爲"海蔘",而那邊的人用"海黃瓜"來形容事物很像黃瓜。 突然想起了林語堂說的話。 "我們中國人看到魚就會首先想到吃掉魚。 西方人想知道它的發生和生態。"這正適合我們嗎?
仔細觀察活着的傢伙,身體呈圓筒形長,後背有凹凸不平的突起,長得像真正的黃瓜。 學者將海蔘與海星、蜘蛛海星、海膽一起放入極皮動物中,早在2300多年前,"生物學之父"亞里士多德就將動物分爲無血類和有血類,並將海蔘分類爲無血類。 公元前(384~322年)62歲的亞里士多德在那個時代非常長壽。 留下如此偉大業績的生物學家們個個都活了。 筆者也希望如此….
因爲吃海蔘的國家並不多,所以只有地中海沿岸的幾個國家和東南亞、中國、日本、韓國。 竟然不吃那麼貴而美味的海蔘,難道不是傻子嗎? 有的國家還抓着它當肥料。 據說,海蔘自古以來就用於幫助血分的中藥材,除此之外,僅海蔘清燉、海蔘蛋湯等中國料理就超過20種。
海蔘在面臨危機時,不惜吐出內臟,讓敵人吃掉它。 讓我們注意一下"人間小氣鬼"自殘恐嚇團所展開的自殘與意義不同。 嚴重時就像蜥蜴扔掉尾巴一樣,將身體的一部分切除,這被稱爲自切。 把心都掏出來存活下來,使內臟煥然一新,真是具有頑強而頑強的生命力。
在海蔘消化管的末端,肛門內有一個呼吸器官叫呼樹。 魚兒中一個叫"藏肉"的小傢伙出入這個肛門生活,他們之間出現了姐姐好、妹夫好的共生(幫助生活)。 大魚一跑去吃氣肉,就迅速鑽進海蔘的糞洞,吃不下去。 再加上海蔘是有毒的,所以無從談起碼海蔘是有毒的。 這麼喘不過氣來的海蔘怎麼還債呢。 是的。氣肉從肛門進進出出,外面的新水進入,裏面髒水流出,從呼吸水中得到乾淨的空氣(氧氣)。 可以肯定的是,世界上沒有免費的。
如果不是氣肉而是傢伙侵入肛門,就會引爆盲囊噴出毒藥,連眼睛和鼻子都沒有的海蔘都能像鬼一樣認出敵人和同志。 捕食者總是喜歡被食者的內臟,所以魚會馬上吃掉海蔘分泌的粘液塊。 粘液中含有"holothurins"的毒素,因此遭受一次重創的魚再也不靠近海蔘了。 任何生物都有保護自己身體的防護裝置! | 文章:權五吉(江原大學生命科學系教授)

 

4억 3000만 년 전 해삼의 조상 화석 발견

해삼의 조상으로 추정되는 솔라시나 크툴루(Sollasina cthulhu)의 상상도. 여러 개의 촉수를 이용해 해저 바닥을 기어 다니며 먹이를 사냥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YPMNH

영국 옥스퍼드대와 미국 예일대 등 공동연구팀이 해삼의 조상 격인 4억3000만 년 된 해양생물 화석을 발견해 ‘영국왕립학회보B’ 4월 10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고대 바다동물의 화석이 많이 발견되는 영국 헤리퍼드셔주 라거슈타트에서 찾은 극피동물 13점의 화석 단면을 30μm(마이크로미터·1μm는 100만분의 1m) 간격으로 잘라서 촬영해 3차원 모델로 구현한 뒤 구조를 살폈다.

 

연구팀은 그 중 촉수가 발견된 화석에 솔라시나 크툴루(Sollasina cthulhu)라는 이름을 붙였다. 크툴루는 미국 SF소설 ‘크툴루의 부름’에 등장하는 고대 신으로, 녹색 피부에 문어의 촉수와 닮은 수염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묘사된다.  

 

연구팀은 솔라시나 크툴루가 거미 정도의 크기였으며, 45개의 촉수로 해저 바닥을 기어 다니면서 먹이를 사냥했을 것으로 추정했다. 계통학적으로는 극피동물문에 속해 해삼류의 먼 조상 생물이었을 것으로 분석됐다.


데릭 브릭스 예일대 지질학및지구물리학과 교수는 “솔라시나 크툴루를 포함한 고대 극피동물 화석의 발견으로 이들의 진화 과정을 더욱 자세히 알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반응형
반응형

공유하기

facebook twitter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