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無限風光在險峰

모든 일에 대한 槪念을 정확히 알고 살면 좋다. 개념은 세상만사 기본이고 핵심이며 생각과 사고와 사유 기준이다. 개념은 추상성과 상징성, 다의성과 위계성, 객관성과 일반성을 갖는다

반응형

중국 전통문화에서 말하는 ‘참을 인(忍)’ 

 

션윈 공연을 본 사람들은 잊지 못할 우아한 춤과 음악, 더불어 화려한 의상과 소품, 사실적인 천상 배경, 삶의 모습들을 재현하는 경쾌하면서 절묘한 무용극에도 놀란다.

‘공산주의 이전의 중국’이라는 슬로건답게, 고대 중국 생활의 한 장면을 담은 작품은 전통문화를 생생하게 표현한다. 선과 악, 충성과 배신, 인·의·예·지(仁義礼智)를 충실하게 풀어내는 이야기는 사람들의 탄성을 자아낸다.

션윈에 담긴 전통적 가치관에는 ‘참을 인(忍)’도 포함된다.

중국의 가장 오래된 한자 사전인 <설문해자(說文解字)>에서는 ‘인’의 뜻을 참음으로 풀이한다.

고대인들은 ‘(참음을) 해내는 것(能也)’이라고 간단하게 풀이했지만, 글자의 모양을 살펴보면 ‘인(忍)’은 스스로 의미를 잘 보여준다. 마음 또는 심장을 뜻하는 ‘心(마음 심)’ 위에 ‘刀(칼 도)’이 놓여 있다. 칼에는 획이 그어져 예리함을 나타낸다.

그러므로 인은 날카로운 칼로 심장을 혹은 마음을 찌르는 듯한 고통을 능히 참아낼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 다른 한자 사전인 <광아(廣雅)>에는 ‘견디는 것(耐也)’이라고 나와 있다. 산을 오를 때는 경사가 험한 길을 견뎌야 한다. 눈길이나 좁은 다리에서도 미끄러지거나 떨어지지 않도록 견뎌야 한다.

일반적으로 인내는 능력에 속한다. 사람의 내적인 자질과 신체의 능력을 발휘해 구현해낼 수 있다. 중국의 전통적인 미덕 중 하나이며 유교, 불교, 도교에서 모두 중시하는 덕목이다.

션윈은 2시간 남짓한 시간 동안 20여 편에 가까운 작은 작품들이 무대에 오른다. 어떤 시즌에는 짧은 무용극이 있었다.

노스님이 버려진 고아를 거뒀는데, 숨겨둔 아이로 오해를 받아 온갖 모욕을 받아야 했다. 노스님은 변명 한마디 없이 치욕을 참고 아이를 돌봤다. 세월이 흘러 아이의 진짜 아버지가 과거시험에서 우수한 성적을 거둬 출세해 고양에 돌아오고 나서야 스님의 결백이 증명된다.

사람들은 자신의 잘못을 뉘우치고 세상사를 선한 마음으로 마주해야 함을 깨닫게 됐고, 노스님은 열반에 들면서 작품은 끝난다.

불교에서는 가사(袈裟)를 ‘인내의 옷, 굴욕의 갑옷’이라고 한다. 스님이 가사를 걸침은 세상의 수치와 모욕을 견디고 온갖 환경에서 스스로를 단련하고 승화시켜 마음의 그릇을 키우고 배려를 넓히며 수양을 쌓아 세상을 제도하는 길에 올랐음을 상징한다.

노스님은 인내력을 통해 업(業·카르마)을 제거하고 세속에서 뛰쳐나올 수 있었다.

인내, 얻을 수 없는 것을 얻는 방법
‘칼은 연마를 견뎌야 날카로워지고, 매화는 모진 추위를 견딘 후에 맑은 향기를 퍼뜨린다’는 말이 있다. 어려운 환경이나 가혹한 사건들이 때로는 사람의 의지를 단련하고 잠재력을 발휘할 기회가 된다.

역사적으로 위대한 인물들이 극심한 고통을 겪은 것은 드물지 않다.
사마천이 편찬한 <사기>의 마지막 편인 <태사공자서>에 따르면, 서백(주 문왕)은 폭군 주왕에 의해 7년간 유배를 당하는 사이 <주역>을 지었고, 공자는 진나라와 채나라에서 떠돌면서 거작 <춘추>를 썼다.

굴원도 올바른 조언을 했다가 추방된 후 <이소>를 완성했고, 좌구명은 두 눈을 실명하고 나서 <국어>를 썼다. 손빈은 모함을 당해 두 다리가 잘린 뒤에 <손빈병법>을 저술했다.

이처럼 고대의 현자들은 모두 고난과 역경 속에서 인내력과 의지의 힘으로 노력해 마침내 후세에 남을 만한 명작을 써냈다.

“하늘은 어떤 이에게 큰 사명을 맡길 때, 먼저 그 사람의 의지를 시험하고 육체를 고통스럽게 하며 궁핍과 곤경으로 몰아넣어 아무 일도 뜻대로 되지 않게 시련을 준다. 이로써 그의 마음의 용량을 키우고 성품을 강인하게 하며 능력을 높이는 것이다.” 맹자의 명언이다.

사욕을 극복하고 예(禮)로 돌아가다
인내는 때로는 무자비함과 냉정함으로도 나타난다. 이는 빛이 있으면 그늘이 있는 것과 마찬가지다. 사물에는 두 가지 면이 있다.

하나가 긍정적이라면 다른 하나는 부정적으로 표현되기도 한다. 그래서 인내에는 동시에 자비가 요구된다. 자비는 늘 온화한 마음을 품는 것으로 체현된다.

안회는 공자가 가장 아끼는 제자였다. 안회는 매우 가난했지만 배움을 좋아했다. 보통 사람들은 빈곤을 견디지 못하지만 안회는 안빈낙도를 즐겼다. 그는 궁핍한 가운데에서도 단정하고 온화했다.

유교에서는 자비라는 개념이 두드러지진 않지만, 마찬가지로 마음이 넓고 타인을 헤아리는 아량이 있을 것을 요구한다. 바로 ‘어질 인(仁)’에 담긴 덕목이다.

공자는 안회에 대해 “그 마음이 석 달이 넘도록 인을 어기지 않는다”면서 “다른 사람들은 하루나 한 달 정도에 그친다”고 평했다. 하루에도 수시로 들끓는 게 사람 마음이다. 평온한 마음을 석 달 넘도록 유지할 수 있음은 그의 인내력이 어느 정도인지를 가늠케 한다.

유교는 예(禮)를 따르는 수양을 통해 인내력을 길렀다. 동시에 예를 통해 어진 성품을 잃지 않을 수 있었다. 자신의 내적인 평온함을 유지하고 뜻을 관철하면서 부지런히 유혹을 뿌리치며 세태에 휩쓸리지 않고 거슬러 올라감이 인(忍)이요 인내다.

참음은 버리는 것을 포함한다. 모든 종류의 나쁜 생각을 포기하는 것이다. 유교는 자제하고 스스로를 단속해 예를 지키는 것을 가르치고 중시한다. 도교는 참된 것(眞)을 말하고 실천하여 진인이 되고 반본귀진하는 것을 가르친다. 불교는 집착을 포기하라고 말한다. 모두 인에 담긴 것들이다.

몸과 마음을 닦는 일은 인내가 필요하다. 이는 무대에 오르는 예술가의 삶과 닮아 있다. 무대 위의 1분은 무대 밖 10년에 걸친 공(功)의 결과다. 션윈의 무대가 빛날 수 있음은 무대 밖에서 고생을 참고 인내하는 삶이 있기에 가능하다.

5천 년 전통문화의 부흥은 무용과 음악, 복식 등 형태적인 것들에 앞서 본질적인 가치를 실현하는 데 있다. 션윈의 예술가들이 구도자 같은 삶을 사는 이유다.


“작은 편협함은 혼란을 부른다”, “인내는 숭고하고 화합은 귀하다”, “참고 용서하면 재앙도 물러선다.”

참을 인(忍)에 관해 중국에서는 다양한 속담과 격언이 전해진다. 중국 진나라 때 학자이자 의사, 도사였던 갈홍(葛洪)은 “쇠는 단단하기 때문에 부러지지만, 물은 부드러워 손상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대도(大道)의 행함, 음과 양의 이치, 재앙과 행복의 상호 의존성은 모두 비슷한 논리를 담고 있다. 다툼 속에서 극단적인 행동만 자제하더라도 갑자기 새로운 전기가 마련돼 인생이 풀리기도 한다.

한때의 인내로 거센 파도가 고요함을 되찾고, 갈등 속에서 한 걸음 물러서면 가없이 넓은 세상이 보인다.

인내와 유약함은 다른 것
모든 것을 참는다면 유약한 겁쟁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도 있을지 모른다. 참음은 아무것도 하지 않는 것일까. 그렇지 않다. 세상에는 얻는 것이 있으면 반드시 잃는 것이 있다. 참음은 태도를 나타내는 행동이자 선택이다.

한나라 때 대장군 한신은 위, 대, 조, 연, 제나라를 무너뜨리고 유방이 한 번의 패배 없이 천하통일의 위업을 이루도록 했다. 그런 한신은 청년 시절, 시정잡배들이 시비를 걸자 맞서 싸우는 대신 가랑이 사이로 지나가는 굴욕을 기꺼이 감수했다.

이는 한신이 유약한 겁쟁이어서가 아니다. 그는 잃는 게 있으면 얻는 게 있고, 잃지 않고서는 얻을 수 없다는 것을 알았다. 소인배는 이득을 취하려 하지만, 군자는 의(義)를 구하며, 현자는 천하의 대도를 닦는다. 한신이 위업을 달성할 수 있었던 것은 인내 때문이었다.

더는 참을 수 없는 것에 대한 참음
공자는 말했다. “계씨는 팔일무(八佾舞)를 자신의 저택에서 추도록 했다. 이 외람된 행위마저 참는다면, 세상에 참지 말아야 할 일이 뭐가 남겠는가”라고 분노했다.

팔일무는 64명이 8명씩 8열로 정렬하여 추는 춤이다. 당시 예법에 따르면 이는 천자와 군왕만의 특권이었다. 그러나 귀족인 계씨는 막강한 권력에 힘입어 자신의 저택에서 팔일무를 추게 했다. 이는 공자마저도 참을 수 없는 막 나가는 행위였다.

이처럼 때로는 대의를 위한다고 할지라도 참을 수 없는 상황을 만날 수 있다. 그럴 때 인내는 소극적 대응이 아니라 행동으로 드러나는 명확한 태도의 표명이다.

션윈 공연은 고대에서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의 중국 역사와 민족, 지역의 풍속을 소재로 한 작품들이 무대에 오른다. 이 가운데 현대 중국을 배경으로 한 작품은 종종 파룬궁 수련자들이 박해를 받는 장면이 그려진다.

1990년대 말부터 시작돼 오늘날까지 이어지고 있는 파룬궁에 대한 중국 공산당의 탄압은 중국인 수천만 명과 그 가족, 친구 등 수억 명 이상이 직간접적으로 관련된 역사적 사건이다.

이 거대한 비극은 작품 속에서 무자비한 폭력, 살인, 공포와 흑색선전에 직면해 물러서지 않고 용감하게 진실을 말하는 수련자들의 모습을 통해 중국의 전통 가치인 대선대인(大善大忍, 큰 선함과 큰 참음)을 생동감 있게 묘사하는 소재로 활용된다.

대선대인(大善大忍)의 체현
2015년 션윈 공연에는 ‘선의 힘’이라고 불리는 무용극이 있었다. 이 작품에는 중국 공산당의 허위 선전, 거짓말에 세뇌된 경찰이 파룬궁 수련자의 자비와 배려에 감명을 받아 자신의 잘못을 깨닫고 행동을 바로잡는 장면이 있었다.

2017년 공연 작품인 ‘선과 악’에서는 파룬궁 탄압으로 부모를 잃은 소녀의 이야기가 펼쳐졌다. 소녀는 ‘ 진선인(眞·善·忍)’이라는 원칙에 따라 원망을 품지 않고 탄압에 가담한 사람들마저 구하기 위해 진실을 말했고, 악은 선의 거대한 힘 앞에 스스로 무너졌다.

이 무용극은 모두 실화를 바탕으로 했다. 그중에는 션윈 소속 예술가가 중국에서 직접 겪은 일을 일부 활용한 것도 있었다.

비파 연주자 량위(梁玉)는 엄마, 이모와 오전 이른 시간 공원에서 파룬궁을 수련하던 도중 여러 대의 경찰차와 십여 명의 경찰들에 체포된 순간을 기억했다. 이후 비파 연주자로 성장한 그녀는 중국을 떠나 션윈에 합류했다.

그녀는 공연 중이나 리허설 때마다 만감이 교차한다고 말했다. “막이 오르고 구름 속에서 신과 부처가 모습을 드러내면 인생은 선과 악, 희망과 괴로움, 생명과 죽음이 얽힌 가운데 옳고 가치 있는 것을 선택하는 것이라고 느낀다.”

중국이라는 거대한 땅에서 5천 년에 걸쳐 수많은 왕조와 민족, 사람들이 빚어낸 역사와 문물은 특정한 민족이 아니라, 인류가 남긴 보편적인 지혜와 문명의 찬란한 빛이다.

션윈은 전통문화를 바탕으로 하는 가장 완성된 무용체계로 신성한 문화의 본질을 생생하게 표현하고 있다. [출처] 에포크타임스 - kr.theepochtimes.com

반응형
반응형

공유하기

facebook twitter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