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無限風光在險峰

모든 일에 대한 槪念을 정확히 알고 살면 좋다. 개념은 세상만사 기본이고 핵심이며 생각과 사고와 사유 기준이다. 개념은 추상성과 상징성, 다의성과 위계성, 객관성과 일반성을 갖는다

반응형

중국 전국시대 사상가이며 제자백가 가운데 도가(道家)의 대표자인 장자(莊子)

圖片信息: 百度

 

장자(莊子)는 몽()의 사람이니 이름은 주()이다. 일찍이 몽현(蒙縣) 칠원(漆園)의 아전을 지냈다. ()나라의 혜왕(惠王), ()나라의 선왕(宣王)과 같은 시대의 사람이다.

 

그의 학문(學問)은 넓어서 엿보지 않은 것이 없었다. 그러나 그 요점은 노자(老子)의 말에서 시작하여 노자의 말에 귀결한다. 그러므로 그의 저서 십여만언(十餘萬言)은 대체로 거의가 우언(寓言)이다. 어부편(漁父篇), 도척편(盜跖篇), 거협편(胠篋篇)을 지어서 공자(孔子)의 무리를 헐뜯고, 그리함으로 노자의 도()를 밝히었다. 장자(莊子) 속에 나오는 외루허(畏累虛), 항상자(亢桑子)니 하는 따위의 인물에 대한 이야기는 지어낸 말로서 사실이 아니다. 그러나 말을 잘 분석하고 연결하여 일을 지적하고 인정을 유추(類推)하여 유· (· )을 공격하였다.

 

당세(當世)의 노성(老成)한 학자라고 하는 이도 장주(莊周)의 논란에 대하여 그렇지 않다는 것을 스스로 변해(辯解)하지는 못하였다. 그의 말은 넓고 심원한 데다 제멋대로 자적(自適)하였으므로 왕공(王公 대인(大人)으로부터는 훌륭한 인재로 인정받지 못하였다.

 

()나라의 위왕(威王)이 장주가 현명하다는 말을 듣고, 사자(使者)를 보내어 예물을 후하게 가지고 가서 맞이하게 하고 정승이 되어줄 것을 원했다. 장주(莊周)가 웃으면서 초왕의 사자에게 말하였다.

 

천금이란 돈은 큰 이득이고 경상(卿相)이란 벼슬은 높은 지위이다. 그대는 교제(郊祭)에 제물로 바칠 소를 보지 못하였는가? 그 소를 여러 해 동안 먹여 기르고, 아름다운 비단으로 옷을 지어 입히고는 태묘(太廟)에 제물로 끌고 들어간다. 그 때가 되어서 돼지가 되기를 바란들 될 수 있겠는가? 그대는 빨리 가라. 나를 더럽히지 마라. 내 차라리 더러운 시궁창 물에서 유희( )하면서 스스로 유쾌하게 지낼지언정 나라의 임금에게 몸을 속박(束縛)당하는 일은 하지 않을 것이다. 죽을 때까지 벼슬하지 않고 내가 내 마음을 쾌적하게 할 것이다.”

 

장자(莊子) BC365?BC290”는 중국 전국시대(戰國時代) 사상가. 제자백가(諸子百家) 가운데 도가(道家)의 대표자이다. 또는 장자가 저술한 저서 장자(莊子)”를 가리킨다.

 

인 물

성은 장(), 이름은 주(). ()나라의 몽(蒙 河南省 商邱縣) 출신. 전국시대인 BC300년 무렵 활동한 것으로 여겨지며, 칠원(漆園)의 말단관리가 된 적이 있을 뿐 대개는 자유로운 생활을 했다. 논리학파(論理學派)의 혜시(惠施)와 친하게 교유(交遊)했지만 그 밖의 행적에 대해서 밝혀진 것이 없다. 보통 그를 가리켜 노자(老子)의 사상을 이어받고 도가사상(道家思想)을 대성시킨 사람이라고 하여 노장사상가(老莊思想家)라고 일컫기도 하나, 노자의 사적(事績)과 연대(年代)가 애매하다는 사실과 두 사상의 차이 등에서 그 전후관계에는 의문점(疑問點)이 많다. 노자의 현실적인 성공주의와는 달리 장자에서는 양주(楊朱)의 위아설(爲我說 自己中心說)과 전병(田騈)의 귀제설(貴齊說 萬物平等說)의 영향을 받은 사변적(思辨的) 경향이 강하다.

 

서 적

장자(莊子)” 33편으로 내편(內編) 7, 외편(外編) 15, 잡편(雜編) 11로 나뉜다. 그 가운데에서 내편이 장주(莊周)의 근본사상을 기술한 것이고 외편과 잡편은 내편의 뜻을 부연(敷衍)한 것으로서 그의 후학들이 연구· 발전시킨 것이라 하며, 노자와의 절충(折衝)이나 다른 사상과의 교류 등을 엿볼 수 있다. 대략 전국시대 말기(BC 3세기 말)에 완성한 것으로 추정(推定)되며, 원문(原文)의 분합(分合)은 그 뒤에도 이루어졌고 오늘날의 33편으로 정착된 것은 진()나라 곽상(郭象)의 주석본이 나온 이후의 일이다. 곽상의 주석본(註釋本)은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완본(完本)의 기본자료이며, 그 뒤에도 당()나라 성현영(成玄英)의 주소(註疏)와 송나라 임희일(林希逸)의 구의(口義) 등 많은 주석본이 나왔다.

 

사 상

장자의 사상은 우선 제물사상(齊物思想)을 근저(根底)에 두고 있다. 이것은 현실의 모든 차별상(差別相)을 평등시하는 일종의 관념철학으로서 생사· 귀천· 대소 등을 비롯하여 시비선악(是非善惡)문제에 이르기까지의 대립상(對立相)을 제일시(齊一視)하는 초월적 입장을 강조하고, 그 대립상에 사로잡히기 때문에 생기는 현실적 고뇌를 초탈(超脫)하려는 것이다.

 

이런 높은 경지를 도추(道樞 道 中心)’ 또는 천균(天鈞 天 中心)’이라 했다. 그리고 속계의 속에서 해방된 자유스러운 경지를 소요유(逍遙遊 구애받는 것이 없는 느긋한 놀이)’라고 이름 지었고 이 경지(境地)에 달하는 방법을 인순(因循)’이라고 했다. 그것은 자연스러운 것, 즉 자연의 절대적 도리에 따르는 것이다. 여기에는 무사망아(無私忘我)의 태도가 요구되며, ‘좌망(坐忘)’이 곧 그것이다.

 

인간의 얕은 지혜를 버리고 스스로 이루어지는 절대적 이()와 합일하는 곳,  천균(天均)’ 을 따르는 경지야말로 구애(拘礙)받지 않는 느긋한 정신의 자유세계가 열리는 것이다. 여기에는 일종의 초월적 종교성(宗敎性)이 있다. 즉 만물제동(萬物齊同)의 철학과 거기에 기초를 두는 인상주의(因循主義)에 의해서 정신의 자유와 평안을 추구하는 것이다.

 

후세에의 영향

그런데 장자의 후학에 이르러서는 초탈의 종교성은 신선사상(神仙思想)과의 결합을 보여 내면적인 수행의 강화를 추구하지만, 다른 면으로는 현실적 효과를 추구하는 세속적 관심도 커져서 처세와 정치적 성공까지 추구하게 되면서 노자(老子)”와 접근하게 되었다. 그 양상 등은 장자(莊子)”의 외편과 잡편(雜編)에서 볼 수 있으며, 이상에 도달하기 위한 실천방법(實踐方法)으로서 내적 본성에 대한 주시가 있고, ‘()에 반하는 있는 그대로의 성명(性命의 안락에 장착하는 것이 강조(强調)되는 것도 그 특징이다.

 

이어서 한()나라 무제(武帝) 때의 회남자(淮南子)에서는 노장을 절충하는 형식으로 모든 사상을 통합하려고 했는데, 거기에서도 이런 경향(傾向)이 특별히 현저했다. ”장자가 즐겨 읽히게 되어 그 사상이 유행한 것은 위진(魏晉) 때부터 육조시대(六朝時代)에 이르기까지였으며, 이른바 청담(淸談)의 내용도 대부분이 장자와 관련되고 귀족들의 초속적(超俗的) 정신의 바탕이 되었다. 한편 후한(後漢) 때에 일어난 도교(道敎)는 노자를 태상노군(太上老君)이라 하여 신격화하였고, 점차 노자를 비조(鼻祖)라 하여 받들었지만 그에 따라 장자도 또한 신선화(神仙化 )하여 신격화(神格化)되었다. ()나라 도홍경(陶弘景)에 의해서 진령(眞靈)이라 하여 제3급에 올려졌으며, 당나라 현종(玄宗)에 의해 남화진인(南華眞人)이라는 존칭을 받아 그의 저서(著書)가 남화진경(南華眞經)이라고 불리게 되었다.

 

庄子为什么不愿意当官?读完恍然大悟


文章: 问过蓝天
众所周知,自古以来的中国人,大都有当官的梦。
如学儒家的人,往往都是以“治国平天下”为己任,甚至历经“龙场悟道”之后的王阳明,都仍然入朝为官,成就不世之功。
由此可见,对于绝大多数人来说,当官确实是人之“大欲”。
但凡事总有例外的时候,如战国时期的庄子,就是一个愿意当官的人。
据说,当时的楚威王听说庄子很有才,于是派人招他为官,即:
“厚币迎之,许以为相”
大意是说,楚威王愿意以重金聘庄子为相。
但是,庄子拒绝了,他用惯有的语气说:你们见过用来祭祀的牛吧,吃好喝好养个几年,然后披红挂彩被牵去杀掉,到那个时候它再想后悔也来不及了。
而我现在原本就逍遥快活,又怎么可能去当官呢?
他进一步地说道,我宁愿做一个只在泥塘中打滚的乌龟,也不愿意做庙堂上供奉着的龟甲。
由此可见,庄子确实不愿入朝为官。
在《庄子》一书中,庄子不愿意当官,还有另外一则叫“鸱得腐鼠”的寓言,即:
惠施在魏国为相,好友庄子去看望他。
但惠施身边的人开始嚼舌头说:“庄子这次来,该不会是要取代您的相位吧?”
惠施听了之后,非常紧张,于是派人在境内到处搜寻庄子——害怕他见到魏王之后,进而取代自己的地位。
庄子知道后,就找到惠子告诉他:南方有一种叫鹓鹐的鸟,要从南海飞到北海去,沿途非梧桐树不栖息,非竹子的果实不吃,非甘泉不饮。
这个时候有一只鸱捡到只死老鼠,而鹓鹐正好飞过,鸱抬头对着鹓鹐发出吓唬的声音,生怕鹓鹐来抢它的死老鼠,而你老兄现在就好像那只“鸱”啊。
这个寓言也可以说明,庄子对于入朝为官不感兴趣——不但不感兴趣,而且还很反感,就好比遇到瘟疫一样,唯恐避之不及。
那么,几乎人人都求之不得的“官位”,庄子为什么不愿意当呢?
其实庄子之所以不愿意当官,大致的原因有以下三个,即:

一、庄子的志向不在于此
从《庄子》一书中,我们看到一个不为“物”所累的庄子。
那么,他为什么不为“物”所累呢?
因为他的志向并不在于“物”,所以,他才不为“物”所束缚。

반응형
반응형

공유하기

facebook twitter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