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無限風光在險峰

모든 일에 대한 槪念을 정확히 알고 살면 좋다. 개념은 세상만사 기본이고 핵심이며 생각과 사고와 사유 기준이다. 개념은 추상성과 상징성, 다의성과 위계성, 객관성과 일반성을 갖는다

반응형

동충하초의 신비함

동충하초는 번데기·누에·매미 등 살아있는 곤충에 버섯균이 기생해 자라는 약용버섯이다. 사진은 번데기에 기생한 밀리타스 동충하초.

아침마다 걷고 달리기를 하는 뒷산 등성이 길섶에서는 철따라 바뀌는 여러 동식물을 만나서 좋다. 산행을 처음 시작한 사람을 제외하곤 대부분 우측 통행을 하는 것도 재미난 현상이다. 숲에는 푸나무가 단연 주인이고 거기에 청설모, 어치(산까치), 휘파람새들이 나를 반긴다. 그리고 한여름을 지낸 요새, 길가에는 여태 보이지 않았던 버섯들이 밭을 이뤄 옹기종기 모여 나 있다. “숲은 큰 나무 하나로 이뤄지지 않는다”는 말을 실감한다.
숲의 생태계(生態系)도 역시 생산자, 소비자, 분해자 세 요소가 더불어 아우러져 있는 것이다. 그 중의 어느 하나가 없으면 생태계가 이뤄지지 않는다. 생산자는 녹색식물을, 소비자는 그것을 먹고 사는 사람을 포함한 동물을 말하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그럼 분해자란 무엇인가. 여느 생산자나 소비자는 생자필멸(生者必滅), 태어나서 언젠가는 죽고 만다. 세균(박테리아)과 곰팡이가 똥오줌이나 핏덩이, 주검들을 분해하지 않는다면 어떤 일이 일어나겠는가?! 아찔하다! 분해자들, 즉 하등하다고 부르는 세균과 곰팡이가 그 일을 담당한다. 예사로 볼 존재가 아니다. 아무튼 썩은 물질들은 모두 거름이 되어 식물의 광합성에 쓰이고, 그들이 만든 양분을 동물이 먹고, 동식물의 노폐물이나 사체를 분해자들이 발효나 부패로 분해를 한다. 그리하여 돌고 도는 물질순환이 일어나게 된다.
그런데 풀과 나무를 분해하는 것은 주로 곰팡이(균류, 菌類, fungus)가 도맡아 한다. 균류 중에는 커다랗고 모양나는 것이 있으니 그것이 바로 버섯이다. 버섯은 고목이나 죽은 나무에 꽃처럼 피어나니, 목질부의 섬유소를 분해하여 먹고 산다. 버섯은 가는 팡이실(균사·菌絲)이 엉켜, 떼지어 모양을 갖춘 것이다. 다른 말로 버섯은 균사덩어리로 그것을 자실체(字實體)라 부른다.
식용하는 석이버섯, 느타리버섯, 송이버섯 등 어느 하나 곰팡이가 아닌 것이 없다. 우리가 곰팡이를 먹는다? 버섯은 일반적으로 물이 90%, 탄수화물이 5%, 단백질이 3%, 지방 1%이고 나머지 1%는 무기물질과 비타민이다. 여기 무기질이 어떤 것이냐에 따라서 독버섯이 되고, 약버섯인 영지, 상황이 된다. 버섯은 홀씨(포자·胞子)로 번식한다. 금년에 떨어진 포자가 내년이면 그 자리에서 균사를 내어서 새 버섯이 태어낸다. 그래서 그 비싼 송이도 나는 곳에만 난다. 송이가 나는 자리는 자식들에게도 알려주지 않는다고 하던가.
그런데 그 포자를 땅바닥이나 나뭇가지가 아닌 곤충(벌레)에 뿌려버리는 것이 있으니 동충하초(冬蟲夏草)라는 버섯이다. 가을이 되면 일생을 마감한 벌이나 노린재, 거품벌레 등의 곤충이 풀 속에 널브러져 있다. 물론 살아있는 나방이의 유충인 송충이나 번데기에도 포자를 뿌린다. 우리나라에서 채집되는 동충하초는 약 20여종이 된다고 한다. 벌레의 겉껍질(외골격)은 주성분이 키틴(chitin)질로 아주 딱딱한 편이다. 여기에다 포자를 흩뿌리면, 포자는 효소(酵素)를 분비하여 껍질을 녹이고 몸 안으로 파고든다. 그런 다음 몸 구석구석에 균사를 뻗어 살을 속속들이 먹어치운다.
가을, 겨울에는 겉으로 보아 이들 곤충은 아직 멀쩡해 보인다. 동충(冬蟲)인 셈이다. 그러나 다음 해 여름에는 껍질을 뚫고 풀줄기 닮은 버섯대가 올라오니 하초(夏草)가 된다. 그래도 아직 껍질은 그대로 남아있으니 밑은 벌레요, 위는 버섯이 피어 있다. 예로 벌동충하초와 노린재동충하초의 줄기나 곤봉 모양의 머리꼴이 다르니 둘은 다른 종(種)이다. 요새는 누에 등의 곤충에 일부러 동충하초 포자를 심어서 단백질 먹은 버섯을 키우기에 이르렀다. 동충하초가 어디에 어떻게 좋은가는 논하지 않겠다. 불로불사(不老不死)의 약은 세상에 없더라.
그렇다면 다음과 같은 일이 가능하지 않은가. 가끔 세계 곳곳에 메뚜기(실은 풀무치 무리임) 떼가 기승을 부려서 곡식을 다 먹어치운다는 기사를 읽는다. 이때 동충하초 포자를 모아뒀다가 확 흩어버린다. 풀무치도 때려잡고 약도 얻는 일거양득이다. 버섯 하나도 예사로운 생물이 아니로다. / 권오길 강원대학교 생명과학부 교수


冬蟲夏草的神祕


每天早晨走路跑步的後山脊在路邊遇到各種隨季節變化的動植物,感覺很好。 除了剛開始登山的人以外,大部分右側通行也是個有趣的現象。 樹林裏,蒲樹當然是主人,而且青鼠、魚(山喜鵲)、口哨鳥也歡迎我。 度過盛夏的要塞,路邊聚集了至今看不到的蘑菇。 真切地感受到了"森林不是一棵大樹就能完成的"這句話。
森林的生態環境也融合了生產者、消費者、分解者三個要素。 沒有其中一個就無法形成生態系統。 生產者指的是綠色植物,消費者指的是包括吃它的人在內的動物,這是衆所周知的事實。 那麼什麼是分解者呢? 其他生產者和消費者都是生者必取,出生後總有一天會死掉。 如果細菌(細菌)和黴菌不分解糞便、血塊、屍檢,會發生什麼事情?! 驚險!分解者,即被稱爲低等的細菌和黴菌負責那件事。 這可不是尋常的存在。 總之,腐爛的物質都化肥用於植物的光合作用,動物吃他們做的養分,分解動植物的代謝物或屍體,分解者發酵或腐爛。 因此會產生循環的物質循環。
但是分解草和樹木主要由黴菌(菌類、fungus)負責。 菌類中有大而有形的,那就是蘑菇。 蘑菇在古樹或竹樹上像花一樣盛開,分解木質部的纖維素爲生。 蘑菇是由細絲(菌絲)纏結而成,成羣結隊形狀。 換言之,蘑菇是菌絲塊,被稱爲"字實體"。
食用石耳、平菇、松茸等無一不是黴菌。 我們吃黴菌? 蘑菇一般是水90%、碳水化合物5%、蛋白質3%、脂肪1%、剩下的1%是無機物質和維生素。 這裏根據無機物是什麼,變成毒蘑菇,變成藥蘑菇靈芝,情況。 蘑菇以孢子繁殖。 今年掉落的孢子明年就會當場出菌絲,生出新蘑菇。 所以那貴重的松茸也只在飛的地方飛。 據說,生松茸的職位不會告訴子女。
但是,這種孢子不是撒在地板上或樹枝上,而是撒在昆蟲(蟲子)上,所以叫做冬蟲夏草。 一到秋天,結束一生的蜜蜂、蜂灰、泡沫蟲等昆蟲就會散落在草中。 當然,在活蛾的幼蟲鬆蟲或蠶蛹上也會撒上孢子。 據悉,在韓國採集的冬蟲夏草約有20多種。 蟲子的外皮(外骨骼)的主要成分是基丁(chitin)質,屬於非常堅硬的類型。 再撒上孢子,孢子就會分泌酶,溶解皮後深入體內。 然後將菌絲伸向身體的各個角落,將肉全部吃光。
秋冬時節,從表面上看這些昆蟲還好好的。 這算是冬蟲。 但是第二年夏天,穿過皮,長着草莖的蘑菇帶就會變成夏草。 但是皮還是保留着,下面是蟲子,上面是蘑菇。 例如,蜂洞蟲下草和蜂洞蟲下草的莖和棍棒狀的頭部形狀不同,兩者是不同的種類。 最近甚至在蠶等昆蟲中故意種植冬蟲夏草孢子,以培育食用蛋白質的蘑菇。 不談冬蟲夏草何處、何處、何處好。 世界上沒有不老不死的藥。
那麼,以下事情不是有可能嗎? 偶爾會讀到世界各地蝗蟲(實際上是一羣風箱)肆虐,把糧食全部吃光的報道。 這時把冬蟲夏草的孢子收集起來,然後一下子散去。 一箭雙鵰,一箭雙鵰。 一個蘑菇也不是尋常的生物。 ▲江原大學生命科學系教授權五吉

 

벌레 먹고 자란 약용 버섯 ‘동충하초’ 동충하초는 곤충 기생형 약용버섯이

동충하초는 번데기·누에·매미 등 살아있는 곤충에 버섯균이 기생해 자라는 약용버섯이다. 사진은 번데기에 기생한 밀리타스 동충하초.

동충하초는 땅에서 자라는 ‘보물’이다. 벌·잠자리·매미·나비·딱정벌레·누에·번데기 등 살아 있는 곤충에 버섯균이 기생해 자라면서 버섯으로 변한다. 곤충 종류에 따라 동충하초도 다양하다. 중국에서는 불로장생을 염원하던 진시황부터 젊음을 갈망했던 양귀비가 동충하초를 즐겨 먹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인삼·녹용과 함께 동양 3대 명약으로 손꼽히는 버섯의 제왕 ‘동충하초’에 대해 알아봤다.

 

벌레 먹고 자란 약용 버섯 ‘동충하초’

동충하초는 곤충 기생형 약용버섯이다. 온·습도가 높아지는 여름·가을에 동충하초균이 살아 있는 곤충의 호흡기나 마디분절을 통해 몸속으로 침입해 겨울 동안 영양분을 섭취하면서 발육·증식한다. 이후 이듬해 여름철 곤충의 입이나 등을 뚫고 나와 곤충 형태에 따라 버섯 자실체를 형성한다. 이런 습성을 본떠 ‘겨울에는 벌레, 여름에는 풀’이라는 의미를 지닌 동충하초(冬蟲夏草)로 불린다. 세계적으로 400여 종의 동충하초가 보고됐으며, 국내에는 70여 종의 동충하초가 자생한다.

동충하초 전문가인 강원대 농업생명과학대 성재모 명예교수는 “동충하초는 인적이 드문 고원지대에 자생한다. 생육조건이 까다로워 인공재배가 어렵다”며 “일반인에게는 전설 속 버섯으로 유명하다”고 말했다.

예로부터 동충하초는 체내 독소를 제거하고 오장육부의 기능을 원활하게 돕는 고급 한방 약재로 사용됐다. 면역기능을 높여 병에 대한 저항력을 길러주고, 쌓인 피로를 풀어준다. 일종의 천연 면역증강물질인 셈이다. 중국 청나라 의서 『본초종신(本草從新)』에는 “동충하초는 폐를 보호하고 신장을 튼튼하게 해 기침·출혈을 멈추게 한다”고 기록하고 있다.

실제 세계여자육상선수권대회를 휩쓴 중국 여자육상대표팀 ‘마군단(馬軍團)’은 동충하초를 먹으면서 고지대에서 강도 높은 훈련을 견뎠다. 중국에서 진행한 연구에서 동충하초는 생체에너지 효율을 높여 피로를 빠르게 회복시키고 지구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

암세포 공격하는 면역세포 활성 증가

최근 동충하초의 면역·인지기능이 재조명되고 있다. 동충하초는 인체 면역기능을 강화하고 기억력을 높이는 ‘코디세핀(Cordycepin)’을 다량 함유하고 있다. 동충하초의 주요 성분인 코디세핀은 1951년 영국 글래스고대학 커닝엄 교수가 처음 보고한 이후 효능·효과를 지속적으로 연구 중인 천연물질이다.

코디세핀의 효능은 다양하다. 자양강장 효과뿐 아니라 뇌세포 노화를 막는다. 2013년 중국 화난사범대학교 생명과학팀은 기억·학습장애를 유발한 쥐에게 동충하초 추출물을 21일 동안 복용토록 했더니 신경세포 사멸을 막아 기억장애를 줄이고 인지능력 저하를 막았다고 발표했다. 항암 효과도 있다. 체내 저항력을 높여 폐암·간암·유방암 세포에 관여하는 암세포 증식을 85% 억제한다는 연구결과가 보고됐다.

동충하초 대중화도 빠르게 이뤄지고 있다. 바로 ‘현미 동충하초’를 통해서다. 인공재배가 까다로운 곤충이 아닌 무농약으로 재배한 국내산 현미를 활용한다. 현미를 물에 넣고 가공·살균한 배지에 동충하초 중에서도 기능성이 뛰어난 번데기 동충하초균을 접종해 대량으로 재배한다. 동충하초 본연의 효능에 현미의 영양성분이 더해 면역력을 높이는 효과를 강화했다.

현미 동충하초의 효과는 면역세포 활성 정도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면역기능을 억제한 쥐 12마리를 대상으로 현미 동충하초 추출물을 하루 1회씩 12일간 먹였다. 그랬더니 암을 공격·파괴하는 면역세포인 자연살해세포(NK Cell·Natural Killer Cel)가 활성화하면서 면역기능이 정상으로 회복됐다. 인체를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도 입증됐다. 건강한 성인 남성 78명을 현미 동충하초 섭취군과 가짜약 섭취군 두 그룹으로 나눠 4주 동안 복용하도록 했다. 그 결과, 현미 동충하초 복용군은 혈액 속 NK 면역세포 활성도가 11% 증가했다. 또 인체 내 면역세포는 28% 늘어났다.

성재모 교수는 “현미 동충하초 추출물은 면역세포를 활성화해 외부 침입물질에 대한 초기 방어기전을 높인다”고 말했다. 이를 활용한 제품도 있다. 동아제약에서 판매하는 ‘동충일기’가 대표적이다. 동충하초 건강기능식품으로는 최초로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면역력 증진효과를 인정받았다.

품질·안전관리도 철저하다. 종자부터 재배·수확·포장·유통에 이르는 모든 단계에서 농약·중금속·미생물 등 위해요소를 관리한 원료만 사용한다. 복용 편의성도 뛰어나다. 현미 동충하초를 미세분말로 만들어 알약 형태로 제조했다. 하루 2회 두 알씩 복용하면 면역기능을 높이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 권선미 기자

반응형
반응형

공유하기

facebook twitter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