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無限風光在險峰

모든 일에 대한 槪念을 정확히 알고 살면 좋다. 개념은 세상만사 기본이고 핵심이며 생각과 사고와 사유 기준이다. 개념은 추상성과 상징성, 다의성과 위계성, 객관성과 일반성을 갖는다

반응형

[암을 이기는 한국인의 음식] 유산균 


대장암 예방효과 각종 연구통해 보고
콜레스테롤 흡수억제 성인병에도 도움

전 세계적으로 매년 55만6천명이 대장암으로 사망하며 이는 전체 사망원인의 1%, 암 사망원인의 7.7%라고 보고되고 있다.

2002년 우리나라의 암 사망원인 중 대장암은 10.6%를 차지했고 식생활 문화의 서구화로 대장암으로 인한 사망률과 발생률이 계속 증가하고 있어 이 추세라면 2010년 이전에 우리나라 암 발생률의 수위를 차지하는 위암, 간암을 따라잡을 것으로 예측된다.

최근 우리나라에서는 대장암 발생률 및 사망률이 증가함에 따라 전통식품 및 향신료에 함유된 생리활성 물질의 대장암 예방효과에 대해 많은 연구자들이 관심을 가지고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인간이 이용할 수 있는 가장 유익한 미생물이라 알려진 유산균은 1858년 프랑스의 루이 파스퇴르에 의해 처음 발견되었는데 발효유제품을 많이 섭취하는 민족에게 대장암의 발생률이 적다는 역학조사 이후 유산균의 대장암 예방효과에 대해 많은 연구결과가 나왔다.

우리나라의 유산균 발효식품이라고 하면 `김치'가 잘 알려져 있으며, 최근 김치에 함유된 다양한 유산균 (Leuconostoc mesenterioids 와 Lactobacillus plantarum)은 동물실험을 통해 종양 생성의 억제 효과가 있음이 보고되었다.

김치 외에도 4세기께 불교의 전래와 함께 우리나라에 우유가 유입되면서 우리 민족은 고대부터 발효유를 고급식품과 약의 일종으로 사용해 왔으며, 1970년대 초 한 업체가 액상발효유를 생산하기 시작한 이후 현재까지 유산균을 함유한 발효유 제품의 소비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미국의 학자 무어는 인간의 장내세균과 대장암 간의 상관관계를 연구한 결과 대장 내 유산을 생성하는 락토바실러스균이 많은 사람의 경우 대장암 발생률이 유의적으로 낮다는 결과를 보고하였다.

화학적 발암물질로 실험동물에 대장암을 유발시킨 뒤 살아있는 유산균인 락토바실러스균을 투여한 결과 유산균을 투여하지 않은 실험동물에 비해 현저히 낮은 결장암의 발생 빈도와 연장된 생존수명을 나타내었다는 연구결과를 비롯해 동물실험을 통한 유산균의 대장암 억제 효과는 이미 여러차례 보고됐다.

대장 내 유산균은 사람이 유산균을 직접 섭취하거나 김치 또는 유산균 발효유와 같은 유산균이 포함된 식품을 섭취함으로써 그 수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이렇게 증가된 유산균은 대장 속 분변 중에 암을 일으키는 세균성 효소인 베타-글루쿠로니데이즈의 활성을 낮춰 대장암을 예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 밖에 유산균은 숙주의 면역기능을 증강시키고 장내에서 콜레스테롤의 흡수를 억제하여 심혈관 질환 예방의 가능성도 보고되고 있으므로 유산균이 풍부하게 함유된 식품을 섭취하면 대장암 뿐만 아니라 다양한 성인병의 예방에도 큰 도움이 될 것이다. | (박은주 교수 = 경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면역력·장건강에 좋다는 유산균, 부작용 정말 없을까


글: 이태호
요즘 유행하는 건강식품 중 가장 대중적인 인기를 누리는 것이 유산균이다. 대부분의 건강식품이 중장년층을 겨냥하는 반면, 유산균은 아기부터 노인까지 온 가족 건강 지킴이로 자리 잡았다. 스틱형 포장재에 분말이 들어 있는 유산균 제품은 먹어보지 않은 사람이 없을 정도다.

출시 초기에는 장 건강, 변비 해소에 좋은 제품으로 알려졌다가 그 효능이 차츰 진화해 현재는 면역력 증강, 아토피, 천식, 비염, 혈중 콜레스테롤 감소, 항암, 피부 미용 등에 효과가 있다고 발전했다. 사실이라면 만병통치에 가깝다. 시장 규모가 연 3000억대로 급성장했다. 건강식품 중 비타민과 홍삼제품 다음으로 많이 팔리는 홈쇼핑의 단골 메뉴가 되었다.

유산균 제품은 흔히 제품명에 ‘프로바이오틱스’라는 단어가 들어간다. 사람 또는 동물이 섭취했을 때 건강에 유익한 효과를 나타내는 균을 총칭해서 ‘프로바이오틱스’라고 하는데 이는 항생제를 뜻하는 ‘안티바이오틱스’에 대비되는 신조어이다. ‘pro’는 영어의 ‘for’와 같은 뜻이며 ‘biotic’은 ‘life’의 뜻을 담고 있다. 우리의 생명에 유익하다는 뜻으로 보통은 유산균의 다른 이름으로 사용되며, 넓은 의미로는 장 속 유익균을 통틀어 부르는 이름이다.

유산균은 우유에 3% 정도 들어 있는 탄수화물인 유당(젖당)을 먹이로 하여 유산이라는 유기산을 만든다. 산성을 띠고 청량감 있는 신맛을 내며 체내에서 많은 열량을 낸다. 생리적 기능이나 약리적 효과가 있는 물질은 아니다. 화학적으로 만들어지기도 하나 보통은 미생물 발효 때문에 생산된다.

유산은 유산균에 의해서뿐만 아니라 우리 몸속에서도 생성되는 물질이다. 운동을 격렬하게 했을 때 산소 부족에 의한 포도당의 불충분 대사로 만들어지며, 체내 축적이 많을 경우 피로를 느끼게 하는 피로물질이기도 하다. 물론 이것도 시간이 지나면 대사되어 에너지를 내면서 분해되어 없어진다.

유산균은 장에 서식하면서 정장작용 등 여러 가지 생리 기능을 발휘하며 유해균의 생육을 억제하고 질병을 예방한다고 알려져 있다. 갓 태어난 아기의 장 속에는 유산균이 먼저 정착하여 외부 감염을 막아주고, 항생제의 장기 복용으로 인해 사멸한 장내 유익균의 복원을 위해 살아 있는 유산균 제제를 투여하기도 한다. 유제품을 많이 먹는 유럽의 유목민이 수명이 길고 건강하게 생활한다는 좀 과장된 정보는 언론에서도 많이 접했다.

그러나 최근 유산균의 효능에 대한 부정적인 연구 결과가 많이 나오고 있다. 덴마크 코펜하겐대학교 교수팀은 프로바이오틱스가 건강한 성인에게는 아무 효과가 없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프로바이오틱스의 효능을 입증한 학술논문 7편 가운데 1편만 신뢰할 만하다고 하며 이런 내용을 학술지 『게놈 매디슨』에 발표했다.

미국 워싱턴대학교 의대는 21개월간 7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프로바이오틱스를 섭취하게 한 결과 별다른 효과가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며 학술지 『감염통제 및 병원역학』에 게재했다. 세계 3대 학술지 『셀』은 유산균의 유해성과 관련된 2편의 논문을 연이어 실었다.

이스라엘의 와이즈만 연구소에서 작성한 것으로서, 면역학자 에란 엘리나브 박사는 프로바이오틱스의 유입이 장내 미생물 간의 경쟁을 유발해 장내세균 활동이 크게 위축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특히 항생제 유입 시에 소멸한 장내 세균이 다시 살아나야 할 기회를 박탈한다는 부작용을 보고했다.

국내 언론은 프로바이오틱스가 면역력이 약한 미숙아, 노인, 중증질환자 등에게는 자칫 '균혈증'을 일으킬 수 있다는 경고 기사를 실었다. 임현동 기자
국내 언론은 프로바이오틱스가 면역력이 약한 미숙아, 노인, 중증질환자 등에게는 자칫 '균혈증'을 일으킬 수 있다는 경고 기사를 실었다. 임현동 기자

국내 언론은 프로바이오틱스가 면역력이 약한 미숙아, 노인, 중증질환자 등에게는 자칫 ‘균혈증’을 일으킬 수 있다는 경고기사를 실었다. 프로바이오틱스로 면역이 과도하게 증가한 상태에서 장 점막이 손상되면 그 사이로 균이 들어가 균혈증을 유발할 수 있다는 것이다. 한편 식약처는 소비자가 제기한 부작용 사례를 모아 보니 전체 건강기능식품 부작용 3661건 중 436건(12%)이 유산균 관련이었다고 했다.

유산균의 유익성을 주장하는 논문이 수도 없이 많지만, 그에 못지않게 인체에 이롭지만은 않다는 연구결과도 차고 넘친다. 여느 건강식품처럼 소비자들을 헷갈리게 하는 연구들이 끊임없이 쏟아지고 있으니 정말 판단이 어렵다.

최근에는 유산균을 식물성 유산균, 동물성 유산균으로 구분하면서 식물성이 몸에 더 좋다고 광고한다. 김치 등 발효식품에 있는 유산균은 식물성이라 좋고 요구르트에 있는 유산균은 동물성이라 나쁘다는 주장인데 말도 안 되는 소리다. 미생물은 생물분류의 하나의 축이다. 식물이 되었다가 동물이 되었다 하지 않는다. 홈쇼핑 등에는 수입산 유산균이 국내산보다 우수한 것으로 선전하나 이도 사실이 아니다. 이름이 같으면 동일 종이다.

유산균은 건강식품 중 병원 처방이 나오는 유일한 제품이다. 보험도 되지 않는 고가다. 유산균 제제는 약이 아니니 약효나 효능을 선전해선 안 된다. 그러나 병원 처방이 나온다는 것은 치료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는 것이다. 특히 종편이나 홈쇼핑 등의 선전을 보면 약과의 구별이 불가능하다. 주무부서의 유권해석이 촉구된다.

반응형
반응형

공유하기

facebook twitter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