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無限風光在險峰

모든 일에 대한 槪念을 정확히 알고 살면 좋다. 개념은 세상만사 기본이고 핵심이며 생각과 사고와 사유 기준이다. 개념은 추상성과 상징성, 다의성과 위계성, 객관성과 일반성을 갖는다

반응형

물가 안정이 민생이다 [유통-기자수첩]

 
임유정 기자 (irene@dailian.co.kr)

체감물가 여전히 수직상승세

24년 만에 최악의 인플레이션

상반기도 물가 고공 행진 예상

세심한 정책적 배려와 지원 절실

서울 시내 한 대형마트에서 고객이 장을 보고 있다.ⓒ뉴시스

계묘년(癸卯年) 새해가 밝았다. 앞날에 대한 기대와 희망 속에서도 불안과 두려움이 엄습한다. 실물경기 하강이 엄중하고 경제 온도는 차갑게 식었다. 새해 들어 정부가 물가 관리에 모든 수단을 동원하겠다고 밝혔으나 체감물가, 특히 외식 물가는 여전히 수직상승세다.

지난해 연간 소비자물가가 외환위기 이후 가장 많이 오른 것으로 최종 집계됐다. 코로나19 사태로 풀린 글로벌 과잉 유동성의 후유증에 우크라이나 전쟁, 미중 공급망 갈등까지 겹치면서 24년 만에 최악의 인플레이션 사태를 맞았다는 게 수치로 확인됐다.

 

통계청이 발표한 지난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5.1%다. 외환위기 직후인 1998년 7.5%를 찍은 이래 가장 높았다. 올 초에도 이런 추세가 유지될 것으로 한국은행은 예상했다. 특히 폭등한 외식비, 가공식품 물가는 오르면 좀처럼 떨어지지 않는다는 점에서 문제다.

 

성장·고용·물가 무엇 하나 기대할 게 없다. 당장 이달부터 전기료가 9.5% 오르는 데 이어, 지자체마다 택시·버스·지하철 등 대중교통 요금과 상하수도 등 공공요금을 줄줄이 올릴 채비를 하고 있다. 물가 인상률 정점은 찍은 것으로 보이지만, 상반기에도 고공 행진이 예상된다.

 

물가가 오르면 서민들의 고충이 가장 크다. 지난해부터 주부들 사이에는 장보기가 겁난다는 말이 나온다. 생활필수품은 줄줄이 인상을 했거나 인상 대기 상태다. 가뜩이나 코로나19로 가정경제가 이만저만이 아닌데 금리마저 고공행진을 이어가 이자 내기조차 버거운 실정이다.

 

그런데도 식품기업들은 올해 역시 가격 인상 요인이 다분하다고 입을 모은다. 대외변수가 많은 상황에서 단기간에 수익성을 개선하려면 가격 인상 외에 선택지가 마땅치 않은게 사실이다. 인건비, 물류비 등 오름세가 계속되는 한 연쇄적인 가격 상승을 막기 어렵다는 분석이다.

 

정부는 경제 대책을 내놓고 있지만 가장 중요한 건 실물경제 대책이다. 서민들은 장바구니를 들고 마트에 가서 의식주를 해결할 품목을 사는데 정부 대책과 시장 현실 간 괴리가 크다고 이야기 한다. 정부 대책이 실물경제 사정을 모르는 탁상행정 대책일 수 있다는 말이다.

 

고물가는 그 자체로 서민에게 고통이다. 물가는 물가로 끝나지 않는다. 금리 인상이 필연적이어서 대출액이 많은 ‘영끌족’ 등의 부담은 배로 불어난다. 그야말로 이중고다. 정부는 물가 인상 요인을 최대한 억제하는 한편, 사회 그늘진 곳을 두텁게 지원할 방안을 찾아야 한다.

 

윤석열 대통령은 올 초 신년사에서 ‘경제’라는 단어를 11번이나 언급했다. 경제가 어렵다는 진단과 회생을 위한 처방을 제시하려는 흔적일 것이다. 고물가, 고금리, 저성장의 늪이 깊어진다. 이 파고를 슬기롭게 헤쳐나가도록 세심한 정책적 배려가 어느 때보다 절실하다.

 

물가안정은 복지의 전제조건이다. 생활물가 오름세를 잡지 못 할 경우 윤석열 정부 복지의 효력이 반감되기 마련이다. 행복은 먹고 사는 문제의 해결에서 시작된다. 국민행복은 엥겔지수라는 장벽 뒤에 있다. 물가 안정이 민생이다.

반응형
반응형

공유하기

facebook twitter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