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며헤진 부산항을 돌아다보니
연락선 난간머리 흘러온달빛
이별만은 어렵더라 이별만은 슬프더라
더구나 정들은 사람끼리 음 - - - -
달빛아래 허허바다 파도만치고
부산항 간곳없는 수평천리길
이별만은 무정터라 이별만은 야속터라
더구나 못잊을 사람끼리 음 - - - -
일제 식민통치하에서 부산 항구(釜山港口)의 쓰라린 이별을 다룬 가장 대표적인 대중가요(大衆歌謠)를 들라면 우선 두 곡을 손꼽을 수 있다. 그중 장세정(張世貞)의 ‘연락선은 떠난다’(1937)가 먼저 나왔고, 두 해 뒤 ‘울며 헤진 부산항’(1939)이 후속곡(後續曲)으로 나왔다.
부관연락선이 부산항에서 일본으로 한국인 징용자를 싣고 떠나는 날이면 부두는 그들을 배웅하는 가족과 친지들의 울음소리로 가득 찼다. 제국주의 철권통치(鐵拳統治)의 압제가 점차 극에 달해가던 1939년, 한 해 동안 어떤 음모와 비극적 일들이 펼쳐졌던가? 조선의 물자와 인력을 강압적으로 착취해가려는 조선 징발령(徵發令), 민족주의 세력들을 철저히 단속하려는 국경취체법, 한국인을 일제 경찰의 보조역으로 부리려고 만든 경방단(警防團) 규칙, 일제 말까지 무려 45만 명의 한국인을 그들의 전쟁 준비 도구로 끌고 간 국민징용령, 총동원물자사용수용령 따위의 식민지 악법이 실시 공포됐다.
실제로 그해 9월부터 부산항 제2 부두에서는 일본으로 끌려가는 한국인 노동자 공출이 시작되었던 것이다. 이 공출(供出)이란 용어에 익숙하지 않은 독자들이 있으리라.
‘가요황제’로 불렸던 가수 남인수.
공출은 일제강점기 때 일제가 군수물자(軍需物資)와 식량을 조달하기 위해 실시한 농산물 수탈정책이다. 1938년 일본은 전쟁 준비의 일환으로 이른바 국가총동원법(國家總動員法)이란 것을 공포하고, 이를 식민지 조선에도 확대 적용하였다. 곧 펼치게 될 그들의 전쟁을 위해 식민지 조선의 모든 물자, 산업, 인원 등을 그들의 뜻대로 통제하고 강압적(强壓的)으로 징발·징용할 수 있도록 규정하였다. 이 악법을 바탕으로 일제는 군수물자 및 식량을 충당하기 위해 공출이란 것을 실시했다. 여기에는 물자공출, 인력공출(人力供出)이 있었는데, 당시 부산항에는 일본으로 떠나는 한국인 노동자와 그들을 눈물로 배웅하는 가족, 친지들의 행렬로 붐볐다. 말하자면 인력공출의 현장이었던 것이다. 여기저기서 작별의 뼈저린 통곡이 들려왔고 서로 부둥켜안은 채 떨어질 줄 몰랐다. 이렇게 헤어지면 언제 다시 만날 기약이나 할 수 있을 것인가? 과연 살아서 정든 고향 땅을 밟을 수는 있을까? 하지만 날카로운 호루라기 소리는 줄곧 들려오고, 출발의 뱃고동은 연신 울려댔다. 떠나는 사람은 차마 떨어지지 않는 발걸음을 옮기며 뱃전에서 갑판(甲板)에 기대어 선다. 떠나는 사람과 배웅하는 사람은 서로 손수건을 흔들며 애끊는 정을 주고받는다.
노래 ‘울며 헤진 부산항’의 가사 내용은 이런 이별 정서로 온통 흥건하다.
울며 헤진 부산항을 돌아다보는/ 연락선 난간머리 흘러온 달빛/ 이별만은 어렵더라 이별만은 슬프더라/ 더구나 정들인 사람끼리 음~ 음~
달빛 아랜 허허 바다 파도만 치고/ 부산항 간곳없는 검은 수평선/ 이별만은 무정터라 이별만은 야속터라/ 더구나 못 잊을 사람끼리 사람끼리
가사의 전편을 음미(吟味)해보기로 하자. 부관연락선은 일본으로 떠나는 징용자(徵用者)들을 싣고 부산항 부두를 막 출발했다. 항구와 선박에는 화통에서 내뿜는 검은 연기로 뒤덮이고 슬픈 뱃고동 소리만 그득하다. 연락선(聯絡船)은 서서히 항구를 빠져나간다. 출항 시간은 아마도 저녁 무렵인 듯하다. 연락선 난간에서 바라보는 달빛엔 눈물이 그렁그렁하다. 왼쪽으로 오륙도가 잠시 보이는가 했더니 어느 틈에 부산 항구는 서서히 멀어지고 이젠 불빛조차 보이지 않는다. 희미한 조각달이 바다 위에 비치는데 뱃전에 부서지는 물결 소리만 적막하게 들려온다. 아무리 다시 찾아보려 애를 써도 고국 땅은 보이지 아니하고, 밤바다 위에는 검은 수평선만 무뚝뚝하게 놓여있을 뿐이다. 정든 사람, 잊을 수 없는 사람과의 이별은 어찌 이다지도 사람의 애간장을 끊어내고 있는가? 작사가 조명암(趙鳴岩)은 그야말로 창자를 토막토막 끊어내는 사연을 단장(斷腸)의 고통으로 엮어서 담아내고 있다. 이런 심정은 일제 말 당시 한국인 모두의 심정을 대변한 것이나 다름 없다.
작사가 강사랑이 엮은 ‘대서정 한국레코드가요사’ 가사집 해설 편에는 부관연락선 부분에 대하여 이처럼 실감 나게 풀어내고 있다.
우리 한국인들이 일본을 가려면 먼저 본적지(本籍地)나 거주지에서 도항증명서(渡航證明書)를 발급 받아야했습니다. 이렇게 발급받은 증명서도 부산경찰서에서 안 된다고 하면 다시 되돌아가야만 했습니다. 다수의 한국인은 연락선에 오르기 전 도항증명서 확인부터 받아야 했고, 보따리나 몸수색을 철저히 당해야 했으며, 심지어는 일경(日警)의 구둣발에 차이고 따귀를 얻어맞는 수모를 겪는 광경이 비일비재했습니다. 사랑하는 남편, 단 하나뿐인 아들을 낯선 일본 땅으로 떠나보내야 했으니 이 노래가 만인의 심금을 울리지 않을 수 없었을 것입니다.
학병으로 끌려간 철이, 징용으로 붙잡혀간 복남이는 어떻게 되었는지? 정신대(挺身隊)로 끌려간 금순이와 이쁜이는 죽었는지 살았는지? 뒤져본 사진첩엔 그리운 옛 모습과 잊을 수 없는 추억만이 남았을 뿐, 울며 헤어진 부산항엔 민족의 설움과 분노가 파도처럼 높았습니다.
워낙 대중들로부터 인기가 높아서 ‘가요황제’로 불렸던 남인수(南仁樹)는 악극단무대 위에서 이 노래를 부를 때마다 피눈물이 솟구쳤다고 한다. 그의 특색은 한창 흥이 달아올랐을 때 마이크를 한쪽으로 밀어내고 육성으로 부르는 것이다. 그럴 때면 청중들은 더욱 흥분의 도가니에 빠져든다. 카랑카랑하면서 비극적 애수(哀愁)의 정감으로 뭉쳐진 가수의 음색은 듣는 이에게 또렷하고도 깊은 감동으로 유감없이 젖어 들었다. 남인수는 훗날 고백하기를 무대에서 팬들로부터 앙코르를 요청받을 때 참으로 많은 자신의 곡목 가운데 반드시 이 ‘울며 헤진 부산항’만을 들려주었다고 했다. 그것은 아마도 이 노래의 가사가 민족사의 아픔을 가장 절절히 담았기 때문일 것이다. 같은 제목으로 1963년 강대진 감독이 영화로 제작한 ‘울며 헤진 부산항’은 남녀의 슬픈 사랑을 다룬 평범한 멜로드라마다. 김지미(金芝美), 최무룡(崔戊龍)이 열연하였다. 이 노래에 서려 있는 민족적 비극의 페이소스는 우리가 차마 두 번 다시 겪지 말아야 할 아픔이 아닐 수 없다. | 이동순 시인·가요평론가
이 아코디언 코너는 세계적인 아코디언 연주가이며 레슨 전문가이며 인간문화재인 김일용원장님의 승인을 거치고 허락을 받아 아코디언연주 영상물을 올립니다. 음악애호자나 아코디언에 취미를 가지신 분들에 많은 도움이 되리라 생각됩니다. 많은 이용 바랍니다. 김일용 아코디언 연구소(카페주소: 김일용 아코디언 연구원 - Daum 카페)입니다.
- 연변대 예술학부 아코디언 전공
- 중국 길림시 신초 예술단 악장 역임
- 용정중학교 음악교사 역임
- 일용 아코디스쿨 대표
- 사단법인 다문화 예능예술 연예인 협회 대표
- 연락처 : 010-9060-8636
☞ [서울 본원]
서울 종로구 수표로 110(종로구 낙원동 178) ☎ 010-9060-8636
☞ [오산지부]
경기 오산시 오산로 195 지하 1층(오산동 882-1 지하 1층) ☎ 010-9060-8636
☞ [고양지부]
경기 고양시 일산동구 장백로 172 3층(장항동 898-1) ☎ 010-9060-8636
☞ [부천지부]
경기 부천시 자유로 67(심곡본동 553-1) ☎ 010-9060-8636
☞ [대전지부]
대전 중구 보문로254번길 13 2층(대흥동 468-3) ☎ 010-9060-8636
☞ [수원지부]
경기 수원시 장안구 장안로29번길 7(영화동 424-3) ☎ 010-9060-8636
☞ [강릉지부]
강원 강릉시 토성로 169(임당동 20-6) ☎ 010-9060-8636
☞ [속초지부]
강원 속초시 수복로 135-1(청학동 486-42) ☎ 010-9060-8636
뻐꾹 왈츠(김일용 원장님 연주-제28호) (178) | 2024.01.23 |
---|---|
수덕사의 여승(김일용 원장님 연주-제26호) (184) | 2024.01.22 |
엄마야 누나야(김일용 원장님 연주-제24호) (166) | 2024.01.20 |
보슬비 오는 거리(김일용 원장님 연주-제18호) (176) | 2024.01.19 |
물레방아 도는데(김일용 원장님 연주-제22호) (172) | 2024.0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