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장은 작자(作者)가 나타내고자 하는 생각이나 느낌을 담고 있습니다. 그 생각이나 느낌도 단어에서처럼 단편적(斷片的)으로만 나타내고 있는 것이 아니고 통일된 뜻을 체계적(體系的)으로 완결지어 나타내고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글쓰기는 문장을 써 나가는 일에서부터 시작된다.’ 해도 지나친 말이 아닙니다.
그러나 실제 글을 쓰다보면 문장을 짓는 일이 그리 쉽지 않다는 것을 느끼게 됩니다. 자기의 생각에 꼭 들어맞는 단어를 선택(選擇)하는 일, 단어를 우리글의 문법(文法)에 맞게 배열하고 결합시키는 일, 자기의 집필 의도(執筆意圖)나 자기가 쓰고자 하는 글의 성격에 맞게 표현하는 일, 심지어는 맞춤법, 띄어쓰기에 어긋나지 않게 문장을 작성하는 일 등에 이르기까지 우리가 관심(關心)을 두어야 할 점이 한두 가지가 아닙니다.
우리는 한국어를 사용하는 토박이 화자(話者)이기 때문에 문법적 직관(文法的直觀)에 의해서 문장의 정·오에 대한 판단능력(判斷能力)을 어느 정도 지니고 있습니다. 그뿐만 아니라 최소한 12년 이상 학교에서 국어공부(國語工夫)를 했기 때문에 우리말과 글의 특성 또는 법칙(法則)에 대해서 어느 정도 체득하고 있습니다. 그런데도 우리는 종종 부정확하고 비문법적(非文法的)인 문장을 쓰고 있습니다. 이를 살펴봄으로써 바르고 좋은 문장이 갖추어야 할 최소한의 요건이 무엇인가를 정립(定立)하도록 해봅니다.
단어가 부적절하게 쓰인 문장
단어선택의 기준(基準)을 모든 문장에 일률적으로 똑같이 적용할 수는 없습니다. 그러나 일단 문장은 작자가 의도한 생각을 정확히 전달(傳達)할 수 있어야 합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먼저 적확(的確)하게 단어가 선택되어야 합니다. 단어가 지니고 있는 사전적(辭典的)인 뜻을 잘 알지도 못하면서 대강 짐작(斟酌)하여 단어를 골라 쓰다보면 결국 애써 놓은 문장이 비문(碑文)이 되고 맙니다. 다음 문장들이 그러한 예입니다.
1) 네안데르탈인과 크로마뇽인들은 이미 석기문화를 가졌던 것으로 추상되며
2) 산림자원은 인류가 필요로 하는 산소를 지급해 주는 역할을 한다.
3) 사실 대학신문사들이 대학언론의 선구자임에도 불구하고 학우들의 상황, 사고를 충분히 반영하지 못한 것은 부인할 수 없다.
4) 지금까지 우리 회사의 상반기 영업실적을 가름하고자 한다.
5) 작년 동안 일어났던 사고유형을 정리해 보자.
6) 그다지 인심이 후하던 그도 세태의 변화에 마음이 달라졌다.
7) 플리츠의 형태, 위치, 수 등에 따라
예문 1)에서 ‘추상(抽象)’은 ‘추정(推定)’으로 바꿔 쓰는 것이 더 적절합니다. 이 두 단어는 ‘미루어 생각함’이란 뜻을 공통적(共通的)으로 갖고 있습니다. 그러나 ‘추상’은 단순히 ‘생각함’이란 뜻을 지니고 있는 것인데 비해 ‘추정’은 ‘판단함’의 뜻이 부가된 말입니다. 따라서 이 글은 필자가 어떤 역사적 사실에 대한 견해(見解)를 드러낸 것이라는 점을 감안(勘案)할 때 ‘추정’이 더 적합(適合)합니다.
예문 2)에서 ‘지급(支給)’은 금품 따위를 ‘내어줌’, ‘치러줌’이란 뜻을 갖고 있는 말입니다. ‘공급(供給)’으로 써야 적확한 표현이 됩니다.
예문 3)에서 ‘선구자(先驅者)’는 비유적인 표현을 하기 위해 쓴 단어일지라도 사전적인 뜻으로 볼 때 잘못 쓰인 말입니다 ‘대표격(代表格)’으로 고치면 문맥적 의미(文脈的意味)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을 듯 싶습니다.
예문 4)의 ‘가름하고자’는 ‘가늠하고자’를 혼동(混同)해 쓴 말인 것 같습니다.
예문 5)에서 ‘동안’은 ‘시간적인 사이’를 뜻하는 말로 앞에 일정한 기간(期間)을 뜻하는 단어가 와야 합니다. 즉, ‘작년 한 해 동안’이라고 해야 정확(正確)한 문장이 됩니다. 단어는 문장 속에서 다른 단어들과 유기적(有機的)인 관계를 맺음으로써 제 본래의 뜻을 비로소 살릴 수 있다는 점을 생각해야 합니다.
예문 6)은 필자가 ‘그다지’의 뜻을 정확히 알지 못하고 썼기 때문에 성분 간의 호응(呼應)이 잘못되었습니다. ‘그다지’는 ‘못하다’, ‘않다’ 따위의 부정(否定)의 의미와 함께 쓰이는 부사입니다. 그런데 여기에서는 ‘후하던’과 호응을 이루고 있어 문장 자체가 비문(碑文)이 되고 말았습니다. ‘그다지’보다는 ‘그토록’, ‘그렇게’ 등의 부사어(副詞語)가 쓰여야 옳습니다.
예문 7)의 ‘수’는 ‘수효(數爻)’로 고쳐 써야 합니다. 여기에서는 ‘폴리츠’라는 사물의 낱낱의 수를 가리키는 뜻으로 써야 하기 때문입니다.
대체로 비문학적(非文學的)인 글에서는 단어의 사전적인 의미가 중시(重視)됩니다. 일반적으로 설명문(說明文), 논설문(論說文) 등이 이에 해당합니다. 이러한 글들은 어떤 사실이나 사물의 실체를 정확하게 지시하고 설명하는 데 그 목적(目的)이 있습니다.
다음 예문들은 글의 성격(性格)에 맞지 않는 단어가 쓰였을 뿐만 아니라 문장의 내용도 선명하지 않고 추상적(抽象的)입니다. 역시 단어 선택이 잘못된 예입니다.
1) 면의 성질 또한 피복 재료 중 가장 융통성(融通性)을 갖고 있다.
2) 슬리브리스인 것은 매개인(媒介人)들이 소매의 의의를 느끼지 못하여 팔을 그대로 노출시키는 경우 …
3) 그러나 생산비가 높아서 그 생산량은 비스코스 레이온에 비하면 보잘 것 없다.
4) 대담하고 큰 무늬가 나타나면서 복잡한 무늬는 사라지며 부드러운 질감(質感)의 옷감이 나타나면 빳빳한 옷감은 자리를 사양(辭讓)한다. 오래 입어도 우아하게 낡어져서 새것이 아니라도 보기가 좋다.
5)우리 정부는 소련에게 상당액(相當額)의 경제 원조를 제공하기로 약속했다.
6) 나 아니라도 누군가가 하겠지 아니면 내 가정이 더 소중하다 하여 업무보다는 가정 일에 더 많은 신경을 쓰는 등, 여성 스스로 사회에서의 무덤을 파는 일을 자행(自行)하기도 한다.
각 예문의 밑줄 친 부분은 문장 전체의 의미를 분명하게 드러내는 데에 오히려 지장(支障)을 주고 있습니다. 문장의 내용으로 볼 때 글쓴이가 이 문장을 작성(作成)한 목적은 어떤 사실이나 대상들에 대해 설명(說明)하기 위한 것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문장의 주요 성분(成分)이 한결같이 막연한 뜻의 단어 또는 어구로 되어 있습니다.
예문 1)에 쓰인 ‘융통성(融通性)’은 ‘실용성(實用性)’ 또는 ‘신축성(伸縮性)’ 등의 구체적인 의미를 나타내는 단어로 바꿔야 할 것입니다.
예문 2)도 예문 1과 유사한 용법입니다. ‘의의’를 ‘필요성(必要性)’으로 바꾸어야 합니다.
예문 3)의 ‘보잘 것 없다’는 지시 전달을 목적으로 한 글의 서술어로서는 부적절(不適切)합니다. 지나치게 막연(漠然)하기 때문입니다.
예문 4)의 ‘자리를 사양한다.’, ‘우아하기 낡아져서’ 등의 서술부(敍述部)도 마찬가지로 결함을 지니고 있습니다.
예문 5)에서 ‘상당액’은 구체적인 금액(金額)으로 나타내야 합니다.
예문 6)의 ‘업무(業務)’, ‘자행(自行)’ 등도 글의 내용에 어울리지 않는 단어입니다. ‘업무’는 일반적 의미를 담고 있는 말이기 때문에 문맥(文脈)에 맞게 ‘직장의 일’ 정도로 구체적인 어구로 바꾸는 것이 적절합니다. ‘자행’은 그 사전적 의미가 이 문장 전체의 내용(內容)과 어울리지 않습니다.
단락 쓰기
1 단락의 의미
글의 설계도(設計圖)인 개요가 작성되면 집필(執筆)의 단계로 들어서게 됩니다. 집필은 문장 하나하나를 써 나가는 일입니다. 그렇다고 생각나는 대로 적어 나가기만 하면 되는 것일까요? 물론 그렇지는 않습니다. 최소한 개요(槪要)에 제시된 어구 또는 문장을 중심(中心)으로 엮어 나가게 됩니다.
개요의 각 항목은 주제(문)를 명세화(明細化) 또는 구체화한 요목(要目)입니다. 따라서 개요를 바탕으로 글을 쓴다는 것은 주제의 하위 단위의 관념을 구체적으로 펼쳐 나간다는 뜻입니다. 주제와 관련된 다양한 관념(觀念) 가운데 가장 중심이 되는 관념은 소주제(문)가 되기도 합니다. 이때 소주제를 중심으로 글이 완결되면 그것은 글 전체를 이루는 작은 단위의 글이 됩니다. 우리는 이것을 일반적으로 ‘단락(段落)’이라 부릅니다. 그리고 단락이 시작될 때 첫 글자를 들여 써 전체 글 가운데 작은 단위(單位)임을 나타냅니다.
단락 가운데에는 중심관념(中心觀念)이 소주제문으로 나타나 있을 수도 있고 단락 전체에 암시적으로 함축(含蓄)되어 있을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이것이 명시적(明示的)이든 암시적이든 단락은 하나의 중심 관념을 담고 있어야 합니다. 그래서 단락을 사고(思考)의 한 단위라고 합니다.
글 전체가 하나의 주제 아래 이루어진 큰 덩어리의 생각이라면 단락은 이를 이루는 작은 단위의 생각입니다. 따라서 단락은 글 전체의 뜻과 긴밀성(緊密性)을 유지해야 하는 종속적(從屬的)인 단위입니다. 그러나 작은 단위의 생각이 하나의 소주제문(小主題文)으로 내세워져 이를 중심으로 완결(完結)된 글의 모습을 갖춘다면 그 나름으로 독자적(獨自的)인 글이 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할 경우 단락은 한 편의 글이 이루어질 때처럼 중심내용이 충분히 구체화(具體化)되어야 합니다.
2 단락의 요건
독자적인 글이 될 수 있을 정도의 전형적(典型的)인 일반 단락이 되려면 어떠한 요건(要件)을 갖추어야 하는가?
첫째, 통일성이 있어야 합니다
한 편의 글이 하나의 주제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듯이 단락도 하나의 소주제를 중심으로 전개되어야 합니다. 하나의 소주제는 단일 개념(單一槪念) 또는 관념을 지닌 것을 말합니다. 이를 중심으로 서술의 초점(焦點)이 집중될 때 핵심이 뚜렷한 단락이 될 수 있습니다.
둘째, 일관성이 있어야 합니다
단락은 하나의 소주제를 중심으로 전개되어야 합니다. 이때 단락 내부의 여러 문장들은 아무 연관성 없이 아무렇게나 접속(接續)되는 것이 아닙니다. 소주제와 이를 뒷받침하는 문장들이 일정한 질서(秩序)에 따라 논리적이고 유기적으로 결합되는 것입니다.
문장들 사이의 일관성은 접속어(接續語), 지시어(指示語), 동일어(同一語) 또는 유사어(類似語) 등을 통해 유지되기도 하고 이들을 표면에 내세우지 않고 단지 의미론적 일관성(一貫性)을 유지한 문장들이 유기적으로 배열(排列)됨으로써 이루어지기도 합니다.
셋째, 완결성을 갖추어야 합니다
단락의 구조는 소주제문과 그것을 뒷받침하기 위한 문장들로 이루어집니다. 소주제문이 지니고 있는 개념이나 관념은 그것이 상세화(詳細化) 또는 구체화되기 전에는 독자성 있는 글이 되기 이전의 미완의 상태입니다. 따라서 독자가 충분(充分)히 이해할 수가 없습니다.
결국 단락은 소주제(小主題)와 그것을 풀이, 입증, 예시하는 문장들로 뒷받침되어야만 하나의 글로서 완결됩니다. 이러한 경우 단락은 한 편의 글 속에 종속(從屬)되는 부분으로 그치지 않고 한 편의 완결된 글로서 독자성(獨自性)을 지닐 수 있게 됩니다.
3 특수 단락의 양상과 기능
완결성의 정도는 예상되는 독자가 누구냐에 따라 결정(決定)될 일입니다. 그뿐만 아니라 소주제가 지니고 있는 내용의 난이도(難易度)와도 관계됩니다. 따라서 완결성(完結性)의 달성도 즉 소주제문을 뒷받침하는 특수 진술(陳述)의 내용, 수준, 분량 등의 정도는 상대적으로 결정될 문제입니다.
지금까지 우리는 일반적으로 단락이 기본적으로 갖추어야 할 세 가지 요건(要件)을 중심으로 바람직한 단락의 틀을 살펴보았습니다. 그러나 모든 단락이 앞에서 말한 세 가지 요건을 다 갖추고 있는 것은 아닙니다. 전체의 글 속에서 특수한 역할(役割)을 하는 단락 가운데 뒷받침 문장들이 없이 중심 문장만으로 이루어진 단락도 있습니다. 이른바 특수단락입니다. 실제로 한편의 글을 통해 특수단락의 양상(樣相)과 그 기능을 알아봅니다.
(가) 서울 시내 한복판의 다리가 두부토막처럼 풀석 내려앉았다. 어째 이런 일이 일어날 수 있단 말인가! 출근길 시민들, 등굣길 어린 여학생들의 참혹(慘酷)한 죽음에 가족, 친지들의 통곡이 국민의 생명을 제대로 지켜주지 못하는 정부와 사회에 대한 원망(怨望)처럼 들려 모든 이의 가슴을 아프게 한다.
(나) 다리 붕괴는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신행주대교(新幸州大橋)의 교각이 공사 중 무너져 내렸던 것이 2년 전 일이다. 그때도 공사실무자 몇 사람만이 책임(責任)을 지는 선에서 사건을 마무리 하였다. 그때 사고 원인을 철저히 규명하고 대책을 세웠다면 이번과 같은 불행은 막을 수 있었을 것이다. 이번 사고는 천재지변(天災地變)이 아니다. 그동안 전문가들이 기회 있을 때마다 붕괴가능성(崩壞可能性)을 경고했고 어떤 방송사에서는 카메라를 들어대며 문제의 심각성을 여러 차례 고발(告發)하였다. 그러나 관계자들은 사고의 위험이 없다고 태연히 답변하였다. 이러한 무사안일(無事安逸)한 태도가 불행한 결과를 가져왔다.
(다) 우리사회는 급격한 산업사회로 들어서면서 가치기준(價値基準)이 많이 변했다. 한 예로 과정보다는 결과를 중시하는 것을 들 수 있다. 과정이 아무리 좋아도 결과가 나쁘면 그것은 인정받지 못한다. 다른 예로 우리사회의 도덕성 상실(道德性喪失)을 들 수 있다.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경쟁에서 이기면 되고, 돈만 많이 벌면 된다. 부실공사(不實工事)든 뭐든 내 이익만 챙길 뿐이다. 우리사회의 도덕성이 이렇게 무너지듯이 다리도 무너졌다.
(라) 이제 더 이상 방치(放置)해서는 안 된다. 이대로 가다가는 사회전체가 벼랑에 서게 된다. 지금이라도 늦지 않았다. 결과보다는 과정을 중시하는 사회로의 대전환(大轉換)이 시급하다. 그와 더불어 우리의 상실된 도덕성을 원상태로 회복(恢復)해야 한다. 그래야만 상처받은 청소년들에게 어른다움을 보여 줄 수 있을 것이다.
“오수성, ‘도덕서의 붕괴’”
(가)부분은 이 글 전체에서 서론적(序論的) 구실을 하는 단락입니다. 이른바 특수 단락 가운데 하나로서 도입 단락(導入段落)입니다. 도입 단락은 글의 서두로 이야기의 실마리를 푸는 구실을 합니다. 어떤 문제를 본격적으로 논의(論議)하기 전에 가볍게 독자의 흥미와 관심을 끌 수 있는 내용을 갖추는 것만으로도 충분합니다. 구체적인 설명이나 논의는 오히려 독자에게 부담을 주게 됩니다. 이 글은 ‘다리’가 어이없게도 무너졌다는 사건 제시(事件提示)와 이에 대한 작자 자신의 가슴 아픈 심정을 나타냄으로써 독자의 호기심(好奇心)을 불러일으키고 있습니다.
(나)부분은 전환 단락으로서 도입 단락에서 제시한 내용의 방향을 바꿔 사건이 발생한 원인(原因)에 대한 문제점을 제기(提起)하고 있습니다. 여기서부터 이 글에서 본격적(本格的)으로 논의될 내용의 방향이 결정됩니다. 이 단락의 내용은 ‘이번 사고는 천재지변(天災地變)이 아니고 인재이다’라고 요약될 수 있습니다.
(다)부분은 결말 단락입니다. 중심 단락에서 논의된 내용을 반복 강조(反復强調)하고 새로운 전망을 곁들이면서 결론(結論)을 짓고 있습니다.
위의 4개 단락 가운데 특수 단락에 해당(該當)되는 것이 도입, 전환, 결말의 기능을 보이는 단락들입니다. 이러한 단락들은 뒷받침문장을 구태여 필요로 하지 않습니다. 골격(骨格)이 되는 내용을 일관성(一貫性) 있게 유지하면서 글 전체와 종속 관계를 맺고 있으면 됩니다.
특수 단락은 이외에도 구체적인 예 또는 사실을 주(主)내용으로 하여 논지(論旨) 단락을 뒷받침하는 예증 단락, 앞뒤의 단락을 이어 주기 위해 설정(設定)된 연결 단락, 결말 부분에 과제의 전망(展望)을 덧붙인 발전 단락, 자세한 설명(說明)을 더함으로써 내용을 더욱 분명(分明)히 해 주는 부연 단락 등이 있습니다.
글의 핵심적인 내용과 중심사상인 주제와 주제문 및 제재자료 수집하기 (0) | 2020.08.01 |
---|---|
미지사물이 지닌 속성을 밝히는 일인 추상적 글을 쓴다는 의미 (0) | 2020.07.31 |
사물에 대한 지식과 정보를 알기 쉽게 풀이하는 글의 진술방식 (0) | 2020.07.30 |
사회 쟁점 되고 있는 현안에 대해 신문사 입장을 표명하는 사설 쓰기 (0) | 2020.07.30 |
인용을 글로 구성하기 위해 우선 핵심 키워드를 찾아서 장문 만들기 (0) | 2020.07.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