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無限風光在險峰

모든 일에 대한 槪念을 정확히 알고 살면 좋다. 개념은 세상만사 기본이고 핵심이며 생각과 사고와 사유 기준이다. 개념은 추상성과 상징성, 다의성과 위계성, 객관성과 일반성을 갖는다

반응형

다람쥐는 땅, 청설모는 나무가 생활 터전


'겨울이 되어야 솔(松)이 푸른 줄 안다’는 말은 난세(亂世)에 훌륭한 사람이 나타난다는 뜻이리라. 그리고 ‘겨울 화롯불은 어머니보다 낫다’고 하니, 옛날에 겨울 보내기가 얼마나 힘들었나를 엿볼 수 있다. 저녁마다 소죽솥 아궁이에서 토막 숯과 솔가지 재를 화로에 소담스럽게 퍼담아 꼭꼭 눌러 할머니 품 앞에 놓아 드렸던 때가 엊그제 같은데, 어언 반세기가 다 되어가니 참 세월이 무상하다. 겨울나기는 비단 사람뿐만 아니라 살아 숨쉬는 생물 모두들의 난제(難題)다.
겨울을 잘 보내고 봄 세상 만나 노닐고 있는 다람쥐와 청설모를 찾아가본다. 다람쥐야 우리 토종(土種)이라 치고 청설모(청서모·靑鼠毛) 녀석들은 언제 어떻게 굴러들어왔는지 모르겠다.(아는 사람이 있으면 알려주시라!) 우리 어릴 적엔 못 보던 놈들인데 말이지. 굴러온 돌이 박힌 돌 뺀다더니만 다람쥐는 쪽도 못 쓰고 청설모 세상이다.
변온동물인 개구리나 달팽이의 겨울나기는 진짜 동면(冬眠·hibernation)이다. 꼼짝 못하고 몸이 땅땅 얼어 겨울을 견딘다. 그런데 정온동물 중에도 다람쥐, 박쥐, 고슴도치 놈들은 겨우내 달싹 않고 굴에서 숨도 제대로 쉬지 못하고 죽은 듯이 지낸다. 다람쥐는 보통 때는 1분에 200번 숨을 쉬지만 한겨울 굴참나무 밑둥치 틈새에서 동면 중인 녀석은 1분에 4~5회만 숨을 깔딱거릴 뿐이고, 심장박동은 150회였던 것이 5회로 줄어든 채 빈사(瀕死·반죽음) 상태다.
청설모와 다람쥐는 생김새가 비슷하여 다같이 다람쥐과(科)에 속한다. 청설모는 다람쥐에 비해 훨씬 덩치가 크고, 집을 나무 위에 지으며, 잣이나 밤을 주로 따 먹고, 월동을 하는 다람쥐와는 달리 겨울에도 나다닌다. 그런가 하면 다람쥐는 알다시피 조막만한 것이 청설모보다 훨씬 작고, 몸이 갈색 털에다 등줄기 무늬가 있고, 추위에 약해서 철저하게 겨울잠을 자고, 주로 도토리를 먹는다. 잣과 밤을 주식(主食)으로 하는 청설모와는 그래서 같은 지역에 살 수가 있다. 먹이가 겹치지 않는 것은 물론이고, 다람쥐가 주로 땅에 산다면 청설모는 나무를 무대로 하여 살기에 공서(共棲)가 가능하다. 그러나 영역다툼(텃세)에 있어서는 힘 약한 다람쥐가 덩치 큰 청설모에게 쫓겨 다닌다.
나도 언젠가 깜짝 놀란 적이 있다! 여름철이다. 저 녀석이 왜 몸 색깔이 저렇게 달라졌냐? 몸에 어디 병이 났나? 겨우내 새까맣던 청설모가 회갈색으로 흐리멍덩했기 때문이다. 그렇다! 청설모는 털갈이를 한다. 추울 때는 흑색 털을 뒤집어썼다가 무더운 여름이 오면 회갈색으로 갈아입는다. 그러다가 늦가을로 접어들면서 또 갈이를 하여 햇볕을 몽땅 흡수하는 새까만 털로 바꾼다. 청설모 녀석은 외출복이 두 벌이나 된다. 이렇게 털을 바꿔 겨울 채비를 하기에 월동을 하지 않는다. 북극에 사는 토끼 무리도 겨울에 흰털을, 여름에는 검은 털로 바꾼다. 보호색으로 갖추느라 그렇다.
청설모는 나무에 주로 산다고 했다. 그렇다면 영역(살터·territory)이 겹치는 동물이 있지 않은가? 바로 까치다. 청설모가 까치집 지은 나무 근처에 나타났다간 난리가 난다. 당연히 청설모가 까치에게 맥을 못 춘다. 그래도 까치와 청설모는 먹이 다툼이 없고, 오직 공간(터)만 조금 겹치기에 함께 산다. 저렇게 먹이(food)와 공간(space)을 많이 얻어 자손을 더 퍼뜨리겠다고 피나는 생존경쟁을 한다. 약육강식하는 밀림(密林)이 따로 없다. 사람도 저것들과 손톱 끝만큼도 다르지 않다.  | 글 : 권오길 (강원대학교 명예 교수)


松鼠的土地,青樹成家園


"只有到冬天,鬆才能知道綠"的意思是亂世纔會出現優秀的人。 而且據說"冬天的火爐比母親好",可見以前過冬是多麼困難。 每天晚上在燒竹鍋竈口把碎木炭和松枝灰裝在火爐裏,按得滿滿當當,放在奶奶懷抱前彷彿是前幾天的事,不知不覺快半個世紀了,真是歲月無常。 過冬不僅是人類面臨的難題,也是生物生存的難題。
讓我們去找一下好好度過冬天,在春天相遇玩耍的松鼠和青鼠吧。 松鼠,與其說是韓國的土種,不知青鼠毛是什麼時候、如何進入韓國的。(如果有認識的人就告訴我吧!)他們都是我們小時候沒見過的人。 雖然說要把滾來的石頭拔出來,但松鼠卻連一隻都用不了,簡直就是青鼠的世界。
變溫動物青蛙和蝸牛的過冬是真正的冬眠。 動彈不得,身體凍得硬邦邦的,熬過冬天。 但是靜溫動物中,松鼠、蝙蝠、刺蝟的傢伙們整個冬天都不甘心,在洞穴裏連呼吸都不能好好呼吸,就像死了一樣生活。 松鼠通常每分鐘呼吸200次,但冬眠在寒冬屈橡樹底部的縫隙中,每分鐘只能呼吸4~5次,心跳從150次減少到5次,處於瀕死狀態。
青鼠和松鼠長相相似,都屬於松鼠科。 青鼠的體型比松鼠大很多,在樹上蓋房子,主要摘松子或栗子吃,與越冬的松鼠不同,在冬天也到處走動。 衆所周知,松鼠比青鼠小很多,身體褐色毛,背部有紋路,耐寒,所以徹底冬眠,主要吃橡子。 因此,與以松子和栗子爲主食的青鼠可以在同一地區生活。 不僅食物不重疊,而且松鼠主要生活在地上,青鼠可以以樹木爲舞臺生活,可以共棲。 但在爭奪領域(地勢)方面,實力較弱的松鼠被體型較大的青鼠趕走。
我也有過被嚇一跳的時候! 夏天到了,那傢伙身體顏色怎麼變了那麼多? 身上哪裏病了? 因爲整個冬天都烏黑的青鼠毛變成了灰褐色。 是啊!青鼠換毛。 冷的時候會披上黑色的毛,到了炎熱的夏天會換上灰褐色。 到了深秋,又換上了能吸收陽光的黑毛。 青鼠有兩套外出服。 這樣換毛準備冬天,不會越冬。 生活在北極的兔子羣也在冬天換白毛,夏天換黑毛。 因爲要具備保護色。
據說,青鼠主要生活在樹上。 那麼,不是有領域(territory)重疊的動物嗎? 馬上就喜鵲。 如果青鼠出現在喜鵲窩的樹旁,就會鬧得沸沸揚揚。 當然,青鼠對喜鵲沒有力氣。 但是喜鵲和青鼠沒有食物之爭,只有空間(地)稍微重疊,所以一起生活。 爲了得到那麼多的食物(food)和空間(space)來傳播子孫,展開了艱苦的生存競爭。 這裏沒有弱肉強食的密林。 人也和那些東西指甲尖一樣。 | 文章:權五吉(江原大學名譽教授)

 

 

청설모는 우리강산 토박이다?!

과학향기

청설모(청서모·靑鼠毛)는 한자로만 해석하면 청서(靑鼠)의 털이 된다. 실제로 조선시대부터 지금까지 붓을 만드는 원료로 이 청설모의 꼬리털을 많이 이용한다. 워낙 이 털이 유행이다 보니 청서라는 이름보다 청설모가 아예 동물 이름이 되어 버렸다. 간단히 이 이야기만 보더라도 청설모는 예부터 우리 산하에 많이 살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최근 야산에서 인간의 무분별한 침습으로 인해 맹금류, 늑대, 여우 삵, 담비, 구렁이 같은 청설모의 천적이 사라지면서 환경 적응력이 강한 청설모는 새로운 전성기를 맞이하고 있다. 어디 이들뿐이랴 멧돼지, 야생고양이, 너구리, 고라니 심지어 야생들개까지, 생태계 파괴 후 인간의 방심과 무단 폐기가 부른 동물들이 생태계의 우점종으로서 새로운 균형을 잡아가는 추세다. 이들은 새 생태계의 탄생을 알리는 한편 산림 파괴로 초점을 맞춘 개발지상주의 인간들과의 피치 못할 충돌 선상에 서 있기도 하다.

 

그중 날렵하기로 둘째 가라면 서러워할 청설모는 잣, 호두 등 예전에 자기 고유의 주식이었지만 이제는 값 비싼 인간의 기호식품이 되어 버린 나무 열매를 서로 차지하기 위해 총까지가진 골리앗 인간과의 웃지 못할 한 판 싸움을 벌이고 있다. 이미 이들은 몇몇 이해 당사자들에 의해 유해조수라는 낙인까지 찍혔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전쟁에서 선동전이 중요하듯, 전선에 선 인간들은 청설모에게 나쁜 이미지를 각인시키는데 안간힘을 쓴다. 가령 청설모가 다람쥐를 모두 잡아먹어 버린다느니, 청설모는 원래 우리나라에 없던 중국산 외래종이라느니 하는 유언비어들이다.하지만 청설모가 비록 벌레나 작은 새알들을 취하기는 하지만 다람쥐를 사냥해서 먹을 정도의 극단의 육식성은 지니고 있지 않다. 앞서 이야기했듯 이들 주식의 99% 나무열매이다. 그리고 대개 가족 또는 단독 생활을 하기 때문에 다람쥐를 통째로 몰아낼 만한 조직성도 갖추고 있지도 않다. 대부분 우리 야산에는 다람쥐와 청설모가 사이좋게 영역을 나누어 생활하는 걸 누구나 흔히 볼 수 있다.

다람쥐는 주로 땅 위에서 생활을 하고 청설모는 주로 나무 위에서 생활한다. 먹이 또한 다람쥐는 땅에 떨어진 도토리를 청설모는 나무에 달린 잣이나 호두 등을 먹기 때문에 먹이 다툼도 일어나지 않는다. 다만 인간들이 한 산을 사방으로 깎아 고립된 섬으로 만들어 버리면 두 종의 마찰이 빚어질 수는 있지만 그 경우 또한 주로 힘이 약한 다람쥐가 먼저 이사를 가는 방식으로 조용히 해결된다.위에서 언급했듯 청설모는 그 이름조차 청서의 털로 쓰일 정도로 우리 조상들의 문방사우의 필수 품목이었다. 그리고 청설모의 명칭 또한 Korean squirrel , 한국 다람쥐로 표기한다. 비록 쥐 과로 천시되어 많은 문헌이나 민화 등에 별로 등장하진 않지만 청설모는 오히려 세계적으로 다람쥐보다도 인정받는 분명히 우리 토종 동물이다. 아무리 중국산 물품이 범람하고 청설모가 보기 싫다고 하더라도 함부로 우리 고유의 토종동물을 중국산이라고 우기는 행위는 우리 스스로 독도가 일본 땅이라 부르는 것과 하나 다름이 없을 것이다.

우리나라는 중국과 육지로 국경이 마주 닿아 수많은 동물들이 우리나라와 중국을 자유로이 오고 갔었다. 그 중 일부는 사람의 왕래 중에 섬나라 일본으로 건너가 정착하게 됨으로써 우리나라는 두 나라 사이에 생태통로 역할을 하기도 한다. 이렇듯 우리나라는 동물이동에 있어 교량역할을 하다 보니 동물 종 다양성이 중국의 어느 지역보다 풍부했다. 중국과 일본에 공통적으로 있는 동물은 대부분 우리나라에도 있었다.다만 일본에도 있고 중국에도 있는 일본원숭이가 옛 기록에도 거의 찾아볼 수 없고 현재까지도 우리나라 야생에는 공식적으로 단 한 마리도 살고 있지 않다. 그래서 이를 한반도 생물학적 미스터리라 부르기도 한다. 얼마 전 사육장을 탈출해 야생에서 홀로 5년 넘게 살아온 일본원숭이를 본 적이 있었는데 매우 건강하고 잘 적응하던 걸 보면 우리나라에 원숭이가 살지 못할 이유가 없었을 것 같다. 포유동물들의 경우는 어느 정도 텃세권이나 영역이 있어 지역에 고립되어 자체 진화하기도 하지만 새들의 경우에는 사실 국경이 없다. 그러니 동물들을 굳이 같은 생태권인 중국산, 한국산, 일본산으로 나누어 차별하는 것은 결코 바람직한 태도는 아니다.최근 몇 년 사이 여러 매체에서 앞다투어 보도되고 있는 곤충이 있다. 그 주인공인 중국산 주홍날개꽃매미는 색깔도 다른 매미에 비해 꽤 원색적이라 사람들에게 혐오의 대상이 되었다. 그러나 엄밀히 말하면 이 매미는 중국이 아닌 중국 이남과 동남아시아에 분포하는 아열대 매미라 불러야 맞다. 이들은 알 형태로 한반도에 우연히 들어와 대부분이 우화 과정에서 죽고 극히 일부가 살아남아 성충이 되었을 것이다. 그리고 그들의 운명은 아직은 정확히 알 수 없다.

한반도의 아열대화가 가속된다면 그들은 계속해서 번창할 것이고 그렇지 않다면 자연도태하게 될 것이다. 작년에 번성했다면 앞으로 알이 성충이 되는 4~5년 후를 주목해 보아야 한다. 매미 앞에 중국산이란 별칭을 붙여 과민반응을 보였지만 사실 우리나라 매미의 대부분은 중국과 일본에도 똑같이 분포한다.주홍날개꽃매미의 약충(불완전 변태를 하는 곤충의 성충이 되기 전 상태)과 성충은 나무의 즙액을 빨아먹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선호하는 나무는 가죽나무나 참죽나무 등의 활엽수이다. 이 매미는 사람들에게 특별한 해를 끼치진 않으나 나무줄기와 잎이 까맣게 그을린 듯 변하는 그을음병을 유발시킨다. 미국과 일본에서는 주홍날개꽃매미에 대해 과수에 피해를 주는 검역해충으로 분류해 놓고 있어 우리나라도 이 매미에 대한 추가적인 조사가 필요하다.그리고 지금 그런 신종의 출현만큼 무서운 것은 몇 년 전부터 전 세계적으로 꿀벌이 사라지고 있는 현상이다. 바로 레이첼 카슨이 경고한 침묵의 봄이 가까이 다가오는 것 같은 오싹함을 느끼게 하는 전조이다. 물리학자인 아인슈타인은 우연하게도 꿀벌이 없어지면 인류도 없어진다.’라는 무서운 예언을 남겼다. 한 외래종의 반짝 출현도 분명히 우려할 만한 현상이긴 하지만 정말 우리가 머리 싸매고 걱정해야 할 현실은 한 종의 이유 없는 사라짐이다. 그것이 크든 작든.: 최종욱 수의사(광주우치동물원)

반응형
반응형

공유하기

facebook twitter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