無限風光在險峰

모든 일에 대한 槪念을 정확히 알고 살면 좋다. 개념은 세상만사 기본이고 핵심이며 생각과 사고와 사유 기준이다. 개념은 추상성과 상징성, 다의성과 위계성, 객관성과 일반성을 갖는다

반응형

한나 브라운. SNS 캡처



한 영국 여성이 산후우울증에 도움이 된다는 이유로 ‘태반’으로 만든 젤리를 먹었다가 뭇매를 맞았다.

최근 영국 매체 더 미러에 따르면, 웨스트요크셔에 거주하는 한나 브라운(34)은 지난해 둘째 아이를 가졌다. 전문가의 만류에도 가정 출산을 고집한 한나는 지난해 10월 자신의 집에서 2.8kg의 남자아이를 출산했다.

그런데 태반이 모유를 늘리고 산후우울증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된다는 정보를 접한 뒤 자신의 태반을 캡슐로 만들어 섭취하기로 했다. 한나는 자신의 태반으로 만든 젤리를 먹는 모습을 촬영해 SNS에 “하리보처럼 태반을 그냥 먹는 중”이라는 캡션과 함께 올렸다.

해당 영상은 곧 온라인상에 확산했고, 500만 회 이상의 조회수를 기록하는 등 화제를 모았다. 한나는 “처음에는 사람들이 관심을 보이다가 미국 전역에 영상이 퍼지기 시작하자 ‘식인 풍습과 같다’ ‘못생겼다’ ‘너와 네 아기는 죽어야 한다’ 등의 비난을 쏟아냈다. 제 여동생도 역겹다고 생각했고, 가족 중 일부는 제가 태반을 먹은 사실에 수치심을 느끼기도 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악성 댓글에 화를 내지는 않았다. 비록 잘못된 일로 입소문이 났지만 저는 다시 한 번 더 할 것이고, 사람들이 다른 사람들로부터 (태반 젤리에 대한) 긍정적인 이야기를 듣게 되면 그때부터 그 이점을 알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태반을 알약이나 젤리로 만들어 먹는 사람은 한나 뿐만이 아니다. 앞서 할리우드 스타 킴 카다시안은 지난 2015년 출산 후 태반 알약을 복용하고 있다고 고백했다.

현재 미국 식품의약청(FDA)은 태반 섭취의 약효를 정식으로 승인하지 않은 상태다. 2017년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는 산모가 태반을 복용한 뒤 아기가 B군 연쇄상구균에 걸린 사례를 인용하며 태반 캡슐 복용의 위험성을 경고한 바 있다.

정세영 기자

英여성, 모유 늘리겠다고 ‘태반 젤리‘ 먹었다가 뭇매

 

英여성, 모유 늘리겠다고 ‘태반 젤리‘ 먹었다가 뭇매

한 영국 여성이 산후우울증에 도움이 된다는 이유로 ‘태반’으로 만든 젤리를 먹었다가 뭇매를 맞았다. 최근 영국 매체 더 미러에 따르면, 웨스트요크셔에 거주하는 한나 브라운(34)은 지난해

www.munhwa.com

엄마에게 상처만 주던 아들… 돌아가신 후에야 사랑을 깨달았어요[그립습니다]

 

엄마에게 상처만 주던 아들… 돌아가신 후에야 사랑을 깨달았어요[그립습니다]

■ 그립습니다 - 나의 어머니 (서춘애·1936~2019)아버지에 대한 기억이 없습니다. 어머니는 홀로 4남매(2남 2녀)를 키웠습니다. 부모가 함께 자식을 낳아 키워도 너무 힘들다고 하는데, 직장 생활 한

www.munhwa.com

철없던 조무래기가 백발 성성 주름으로… 57년전 그때 그리워[사랑합니다]

 

철없던 조무래기가 백발 성성 주름으로… 57년전 그때 그리워[사랑합니다]

■ 사랑합니다 - ‘깨복쟁이’ 친구들 개산과 가야산이 맞닿은 중간지점을 넘고 몇 개의 마을을 지나야 지금은 폐교된 동수국민학교가 있었다. 진포리, 개머리, 텃골, 동방, 오량리 등 주변 마을

www.munhwa.com

반응형
반응형

공유하기

facebook twitter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