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無限風光在險峰

모든 일에 대한 槪念을 정확히 알고 살면 좋다. 개념은 세상만사 기본이고 핵심이며 생각과 사고와 사유 기준이다. 개념은 추상성과 상징성, 다의성과 위계성, 객관성과 일반성을 갖는다

반응형

[이슈] 금리 올랐는데 은행이 왜 망할까?

 

국채 등 보유자산 하락해  미실현 손실 ‘눈덩이’…불확실성 증가도 한몫
 
 
 
실리콘밸리 은행 본사 입구 

연방준비제도(연준·Fed)가 초고속 기준금리 인상을 시작한 지 1년을 맞은 현재 금리 인상에 따른 채권 등 자산의 실질 가치 감소로 인한 미국 은행들의 잠재적 손실이 천문학적으로 부푼 것으로 나타났다.

실리콘밸리은행(SVB) 파산 사태의 주요 원인으로 금리 급등에 따른 국채 등 보유 자산 가격의 하락이 꼽히는 가운데 이런 문제가 SVB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12일 CNN 방송에 따르면 연방예금보험공사(FDIC)는 미국 은행들이 보유한 채권 등의 가격 하락에 따른 미실현 손실 규모가 지난해 말 기준 약 6200억 달러(약 806조원)에 이른다고 추산했다.

 
 
 
미실현 손실은 SVB가 보유한 국채의 경우처럼 현재 가격이 액면가보다 하락했지만, 아직 매도하지 않아 손실이 실현되지 않은 것을 말한다.
 

초저금리 시절 미국 은행들은 미 국채와 회사채 등을 대량으로 퍼 담았으나, 연준이 금리를 유례를 찾기 어려울 정도로 급속히 인상하면서 이들 자산의 가치가 급락했다.

금리가 상승하면 새로 발행된 채권이 더 높은 금리를 지급하므로 과거에 발행된 채권은 가치가 떨어지게 된다.

 

마틴 그룬버그 FDIC 의장은 SVB 사태 직전인 지난 6일 행한 한 연설에서 “현재 금리 환경은 은행의 자금 조달·투자 전략의 수익성과 리스크에 큰 영향을 미쳤다”며 “은행권이 예상치 못한 유동성 수요에 대응할 수 있는 미래의 능력이 미실현 손실로 인해 약해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로부터 불과 사흘 뒤인 지난 9일 국채 등 자산 가격 하락에 따른 손실로 위기에 몰린 SVB가 뱅크런(대량 인출 사태)에 빠져 다음 날 파산하면서 그의 우려가 현실화한 셈이다.

 

그룬버그 의장은 그러면서도 대다수 미국 대형 은행은 재무 상태가 양호하고 채권 손실을 실현할 수밖에 없는 상황으로 몰리지 않을 것으로 전망했다.

 

앞서 연준은 지난해 3월 16일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상하며 ‘제로 금리 시대’를 끝냈다.

 

이어 지난해 6월, 7월, 9월, 11월 4차례에 걸쳐 기준금리를 0.75%포인트씩 끌어올리는 파격적인 금리 인상을 단행했다.

 

12월 마지막 연례회의에서는 금리 인상 폭을 0.5%포인트로 낮춘 데 이어 지난달에는 경기침체 우려 등을 고려해 0.25%포인트 인상으로 속도를 조절했다.

 

이에 따라 미국 기준금리는 1년 만에 0∼0.25%에서 4.5∼4.75%로 4.5%포인트 치솟았고, 이는 고스란히 국채 가격 급락으로 돌아왔다.

 

앞으로 연준이 금리 인상을 지속할 경우 이 같은 잠재적 손실도 계속 불어나게 되지만, 이번 SVB 사태로 향후 금리 전망은 매우 불투명해진 것으로 보인다.

 

SVB 파산의 충격이 미 금융권과 실리콘밸리 스타트업계 등지로 번지는 것을 막기 위해 연준이 추가 금리 인상에 신중할 것이라는 관측이 급속히 힘을 얻고 있기 때문이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연방기금금리(FFR) 선물 시장에서 연준이 이번 달 회의에서 금리를 0.25%포인트 인상할 가능성은 한국시간 13일 오후 3시 33분 현재 93.7%로 치솟아 0.5%포인트 인상(빅스텝) 확률 6.3%를 크게 앞섰다.

 

앞서 지난 9일 0.5%포인트 인상 확률이 78.6%, 0.25%포인트 인상 확률이 21.4%였던 데 비하면 SVB 파산 이후 완전히 뒤집어진 것이다.

 

이런 가운데 시장은 오는 14일(현지시간) 발표될 미국 2월 소비자물가지수(CPI)에 주목하고 있다고 블룸버그통신은 전했다.

미국 연방 당국이 지난 10일 파산한 ‘실리콘밸리은행’의 부실 운영 조사에 착수했다. 실리콘밸리은행 파산의 직접적인 원인으로 연방준비제도의 가파른 금리 인상이 지목되면서 그 배경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반응형
반응형

공유하기

facebook twitter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