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이기욱
지난달 중순 50대 여성 A 씨는 딸의 휴대전화 번호로 걸려온 전화를 받았다. 휴대전화 너머로 “엄마… 나 성폭행 당했어”라는 여성의 목소리가 들렸다. 이윽고 전화를 바꿔받은 남성은 A 씨에게 500만 원을 인출해서 지시하는 장소로 가라고 말했다. 딸이 위험에 처해있다는 생각에 A 씨는 급하게 택시를 타고 이동해 해당 장소에 있는 남성에게 돈을 건네줬다.
이후 A 씨에게 돈을 더 요구하는 연락이 왔지만 그 과정에서 A 씨 남동생과 딸이 연락이 돼 딸이 안전하다는 것을 확인하고 A 씨는 자신이 전기통신금융사기(보이스피싱)를 당했다는 것을 알게 됐다.
최근 엄마나 딸 등 가족의 휴대전화 번호로 전화를 걸어와 현금을 요구하는 보이스피싱 범죄가 기승을 부리고 있다. 이전에는 수사기관을 사칭하거나 대출 상담 전화를 빙자해 개인정보를 요구하던 방식이 대부분이었다. 신종 수법은 국제전화로 걸려오지만 수신자의 휴대전화에 저장된 번호로 발신인이 표시돼 쉽게 속을 수 있다는 점에서 주의가 요구된다.
일선 경찰서에도 A 씨와 비슷한 사례가 꾸준히 접수되고 있다. 지난해 12월 서울 송파경찰서에는 부인 휴대전화 번호로 남편에게 전화가 걸려와 부인이 납치됐다며 5000만 원을 요구하는 신고가 접수되기도 했다. 하지만 부인은 집 근처에 있었고 납치를 당한 상태도 아니었다.
경찰청 국가수사본부에 따르면 신종 수법은 휴대전화 번호 뒷부분이 일치하면 실제 전화를 건 번호가 국제전화 등의 다른 번호라도 평소 저장해 놓은 명칭으로 화면에 나타나는 점을 악용해 범행을 저지른다. 보이스피싱 조직은 사전에 범행 대상의 휴대전화에 악성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거나 컴퓨터를 해킹하는 방식으로 개인정보에 접근해 전화번호를 알아낸다.
이후 수신자의 휴대전화에 저장된 번호로 발신번호를 변작해, 국제전화식별번호(001) 뒤에 변작한 번호를 붙인다. 예를 들어 010-abcd-abcd라는 번호가 ‘엄마’로 저장돼 있으면, +001-82-0001-0010-abcd-abcd로 전화를 걸었을 때 휴대전화 화면에 엄마로 표시되는 휴대전화 시스템을 악용한 것이다. 해당 수법을 시스템 상에서 차단하기는 어려워, 경찰은 통신사 및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등에 협조 요청을 해놓은 상황이다.
국수본은 “범죄조직들이 문자메시지를 정교하게 조작하는 만큼 문자메시지에 포함된 인터넷주소는 철저하게 확인하고 될 수 있는 대로 누르지 말아 달라”며 “피해를 막기 위해 이러한 수법이 있다는 것을 공유해주기를 당부한다”고 밝혔다.
보이스피싱의 진화가 끝을 보이지 않는다.
메신저 친구, 방송프로 퀴즈상품, 고객감사 이벤트 당첨 등을 이용한 보이스피싱(전화금융사기)이 기승을 부리고 있는 가운데 최근 은행과 경찰을 연달아 사칭하는 신종 보이스피싱이 등장해 주의가 요구된다.
회사원 장모씨(32)는 최근 '1588-1900' 번호가 찍힌 전화를 받았다. 전화를 건 남자는 모 은행 '이○○ 대리'라며 "지난달 2일 은행카드를 신청하지 않았냐"고 물었다. 장씨가 그런 사실이 없다고 하자 전화 속 남자는 "누군가 명의를 도용해 카드를 만든 것 같다"며 "은행에서 대신 경찰에 신고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또 "경찰에서 전화가 오면 카드신청을 한 적이 없다고 말하라"는 '조언'과 함께 전화를 끊었다. 몇분 후 경찰민원정보안내센터(1566-0112) 번호가 찍힌 전화가 걸려왔고, 형사라는 남자가 카드 명의도용 사건을 접수했다며 주거래은행과 통장 종류, 잔액 등을 캐물었다.
순간 이상한 느낌이 든 장씨는 전화를 끊고 발신번호인 '1566-0112'로 전화를 한 후 가슴을 쓸어내렸다. 경찰민원정보안내센터 직원으로부터 '보이스 피싱(전화금융사기)' 전화라는 얘기를 들었기 때문이다. '1566-0112' 번호는 착신 전용이라 발신번호가 뜰 수 없다는 것이 센터 직원의 설명이었다.
자녀 납치나 공공요금 연체 등을 미끼로 한 고전적인 보이스피싱 방법이 차츰 사라지고 은행과 경찰을 연계해 사칭하는 새로운 수법이 등장한 것. '명의를 도용당해 새 카드가 사용되고 있다'고 불안감을 조성한 후 경찰 민원안내 전화번호를 이용해 신뢰감을 심어주고 돈을 뺏는 방식이다.
실제로 최근 인터넷상에는 이같은 내용의 전화를 받았다는 피해 사례 글이 많이 올라와 있다. 한 누리꾼은 "엄마가 경찰을 사칭한 전화를 받고 카드 비밀번호 등을 알려줬는데 느낌이 이상해 은행에 확인해 보니 통장 잔고가 하나도 없었다"는 내용의 피해 사례를 올렸다.
특히 조선족 특유의 억양으로 인해 사기를 눈치챌 수 있던 이전과 달리 요즘 보이스피싱 전화는 전형적인 한국인 말투를 사용한다. 게다가 피해자의 이름과 생년월일을 정확히 알고 있어 속아 넘어가기가 쉽다.
서울지방청 민원정보안내센터 관계자는 "최근 경찰 수사를 운운한 사기 관련 문의전화를 하루 최대 400통 이상 받고 있다"며 "사기꾼들이 인터넷 전화를 이용해 발신번호를 센터번호로 바꿔 전화를 하는데 '1566-0112' 번호가 뜨면 100% 사기전화"라고 설명했다.
'110 정부민원 안내 콜센터' 관계자도 "피해사례 홍보 등을 통해 보이스피싱이 줄고 있지만 신종 수법을 이용한 사기 행위가 끊이지 않고 있다"며 "전화 사기가 의심되면 국번 없이 110 또는 1379로 전화해 상담을 받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숨진 친구 피 발라 죽은 척 했다"…美 초등학교 총격 참상 (6) | 2022.05.29 |
---|---|
“못 들으니 여편네랑 오세요”…구청 직원, 80대 노인에 몹쓸 쪽지 (4) | 2022.05.20 |
단 한 명의 확진도 용납 않는 중국의 ‘제로 코로나’ 방역으로 상하이 봉쇄 (0) | 2022.05.10 |
13년 각고 끝에 드디어 탄생한 <중중한 사전(中中韓辭典)> (0) | 2022.04.05 |
역대 대통령 취임사와 취임식 (4) | 2022.04.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