知我者,謂我心憂; 不知我者,謂我何求。
나를 알아주는 사람, 내 마음 시름겹다 하고, 나를 몰라주는 사람, 나에게 무얼 구하느냐고 한다 --《詩經(시경)》
이 명구(名句)는 "나를 이해하는 사람은 내가 슬프다 하고, 나를 이해하지 못하는 사람은 내가 무엇을 추구하는지 묻는다"는 의미다. 이 구절은 간결하고 평이(平易)한 언어로 깊은 사상(思想)을 표현하고 있다.
인생에서 정말 소중한 사람들 중 한 명이라고 할 수 있는 '지음(知音)'은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을까? 또한, 우리가 지음(知音)이 되어주는 사람들에게 어떤 감사와 소중함을 느끼며 살아가야 하는지를 깨닫게 될까?
반평생 사랑만큼 우정(友情)도 갈망했다. 사랑은 이루었지만 우정의 진실에 대해 좀 혼동(混同)된다. 친교(親交)는 수다(數多)했고 지인(知人)도 과다(過多)했다. 그런데 나의 지기(知己)는 과연 몇몇일까.
사랑과 우정의 차이에 대해서는 많은 비유(比喩)가 있다. 사랑은 눈물짓게 하고 우정은 웃음 짓게 한다, 사랑은 주는 거지만 우정은 주고받는 것이다, 사랑은 눈에서 우정은 귀에서 시작한다, 사랑은 또 다른 사랑으로 잊히지만 우정은 아니다, 세월은 우정을 강하게 하지만 사랑은 약하게 만든다, 우정은 내 곁에 두고 싶은 거지만 사랑은 그 사람 곁에 있고 싶은 것, 사랑이 꽃이면 우정은 뿌리다.
니체는 사랑보다 우정을 상위 개념(槪念)으로 봤다. ‘사랑은 눈이 머는 것, 우정은 눈을 감는 것’이라고 했다. 심지어 ‘결혼(結婚)이 불행해지는 이유는 사랑이 부족해서가 아니라 우정이 부족(不足)해서’라고 했다. 결국 사랑의 속성(屬性)은 소유, 집착, 배타성, 가변성, 비극성이다. 우정은 공유, 공존, 관용, 이해, 영원성(永遠性)이다.
중국 춘추전국시대에 거문고의 명수 백아(伯牙)가 있었다. 그의 오묘한 경지(境地)를 알아주는 사람이 없었다. 그러다 우연히 나무꾼 종자기(鍾子期)를 만나게 됐다. 백아가 거문고를 켜면 종자기는 묵묵히 듣고 있다가 백아의 마음속 생각을 다 알아맞혔다. 종자기가 죽자 백아는 그의 무덤 앞에서 마지막 연주를 하고는 거문고 줄을 끊었다. ‘백아절현(伯牙絶絃)’의 고사다.
돌이켜보면 나의 ‘종자기(鍾子期)’를 찾아 평생 두리번거리고 마음을 주었다 되돌렸다 했다. 평생 내 안에 내가 너무나 많았다. 그런 나의 속내를 들여다보고 이해하고 동조(同調)하고 받아준 지음이 과연 있었던가, 아니 나는 그 누구의 지음(知音)이 되어주려고 노력한 적이 있었던가.
우정을 가리키는 고사성어는 유독 많다. 수어지교(水魚之交)니, 금란지계(金蘭之契)니, 문경지교(刎頸之交)니, 죽마고우(竹馬故友)니 하는 말이 있다. 하지만 나는 이런 말로는 무언가 부족해서 ‘간담상조(肝膽相照)’란 말을 좋아한다.
이 말도 중국 고사에서 나왔다. 간과 쓸개를 서로 꺼내 내보일 수 있는 ‘막역지우(莫逆之友)’를 말한다. 여기엔 비밀도 험담(險談)도 눈치도 없다. 그냥 인간 대 인간이다. 그의 면상이 내 면상이요, 그의 주름살이 내 주름살이요, 그의 얼룩이 내 얼룩이다. 나이 먹어가니 서로의 오욕칠정(五慾七情)을 털어내며 인생살이 공범(共犯)이 되어줄 지음이 그리워진다.
총적으로 '지음(知音)'이란 단어는 두 한자의 조합(組合)으로 '마음을 알아주는 소리'라는 뜻을 가지게 된다. 또 이를 통해 백아(伯牙)와 종자기(鍾子期)처럼 서로의 마음을 이해해주고 지지하는 사람을 의미하게 된다. 요약하자면, '지음(知音)'은 서로의 마음을 알아주는 소리를 의미하며, 이 단어의 유래는 춘추시대(春秋時代)의 거문고 명인 백아와 그의 친구 종자기의 이야기에서 비롯되었다. 두 사람은 거문고 연주를 통해 서로의 마음을 소통하며 깊은 우정을 나누었다.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지음'이라는 단어는 서로의 속마음을 이해해주는 친구를 의미하게 되었다. 과연 세상에 또 이런 절친(切親)인 지음이 또 나타날까?
행복한 기억을 만드는 방법 (44) | 2024.04.15 |
---|---|
사랑의 힘: 그것이 세상을 움직이는 원동력인 이유 (40) | 2024.04.13 |
MZ가 결혼을 안(못)하는 궁극적인 이유 (138) | 2024.02.23 |
긴 연애를 못하는 사람들의 특징 7 (155) | 2024.02.07 |
남녀가 관심 있을 때 하는 서로 다른 행동 10 (173) | 2024.0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