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無限風光在險峰

모든 일에 대한 槪念을 정확히 알고 살면 좋다. 개념은 세상만사 기본이고 핵심이며 생각과 사고와 사유 기준이다. 개념은 추상성과 상징성, 다의성과 위계성, 객관성과 일반성을 갖는다

반응형

잡식문화(雜食文化)와 자기애(自己愛)의 상호관계(相互關係)

 

재미나는 심리성향(心理性向)을 알아본다. 자기애(自己愛)가 강한 사람일수록 다양문화(多樣文化)를 ‘잡식(雜食)’한다고 한다. 즉 저급문화(低級文化)부터 고급문화까지 다양한 문화를 함께 즐긴다는 연구결과(硏究結果)가 나왔다.

최근 코로나19 사태로 문화생활(文化生活)을 즐기기 어려웠다. 이제 문화생활은 더는 사치(奢侈)가 아닌 생활일상(生活日常)이 됐다. 이 점에서 영화관(映畵館)이나 박물관(博物館) 등을 이용하지 못하는 최근 상황(狀況)이 불만족스럽게 느껴지는 사람들이 많다. 특히 장르를 불문하고 다양한 문화를 즐기는 사람들이라면 더욱 그렇다. B급 정서(情緖)가 담긴 가벼운 오락(娛樂) 콘텐츠부터 교향곡(交響曲)이나 협주곡(協奏曲) 같은 클래식, 새로운 기술을 접목(接木)한 VR게임까지 다양한 문화체험(文化體驗)을 즐기는 사람들이 있다.

어떤 하나에 꽂혀 열광(熱狂)하기보다 문화를 잡식성(雜食性)으로 섭취(攝取)하는 사람들이 있다. 식자층(識字層)이 좋아할 법한 고상한 취향(趣向)과 대중적이고 키치한 문화들까지 골고루 향유(享有)하는 사람들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미학(美學), 창의성(創意性), 예술(藝術), 심리학(心理學)에 의하면 문화 잡식성은 특정한 성격적 요인(要因)과 밀접한 연관을 보인다.

20세기 중반까지만 해도 고급문화(高級文化)와 저급문화는 사회계층(社會階層), 경제적 상태(經濟的狀態)에 따라 나뉘었다. 오페라, 오케스트라, 미술 전시 등은 교양(敎養) 있는 사람들이 즐기는 문화였다. 반면에 길거리 공연(公演), 그래피티(graffiti) 등은 보다 낮은 수준의 문화로 경계선(境界線)이 그어졌다. 또 전자의 문화는 예술성을 인정(認定)받았다면 후자는 내재적 동기에서 비롯한 욕구나 욕망 등이 투여(投與)된 것으로 보았다. 하지만 오늘날은 두 문화 사이의 경계(境界)가 흐릿해졌고, 이를 함께 즐기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이 두 문화를 함께 즐기고 좋아하는 사람들의 성향(性向)은 나르시시즘, 자존감, 본능적 욕구 등의 정도가 이런 문화를 즐기는 방식과 긴밀한 연관(聯關)이 있었다.

즉 나르시시즘이 강한 사람, 자존감이 떨어지는 사람에게서 문화 잡식성 성향(性向)이 보다 강하게 나타났다. 자기애(自己愛)가 강하면서도 자신감(自信感) 부족으로 불안정한 심리를 가진 사람이 두 가지 문화를 함께 소비(消費)하는 경향이 강하다. 나르시시스트의 문화 소비 목적을 파악(把握)하기 위해 또 하나의 실험을 진행했다. 연구팀은 고급문화(高級文化)에 해당하는 예술 작가와 대중문화(大衆文化) 예술가 등 두 명에 대한 전기(傳記)를 마련했다. 실험에 참여한 학부생 144명은 전기를 읽고 난 뒤 두 예술가들의 작품(作品)을 보았다. 그리고 해당 작가의 전시회(展示會)를 방문하거나 주변에 추천(推薦)할 의향이 있는지에 대해 답했다. 작품에 본능적으로 이끌리는지도 평가(評價)했다.

그 결과, ‘불안정한 나르시시스트’ 성향을 가진 학생들이 특히 고급문화와 저급문화를 둘 다 소비(消費)하려는 경향을 보였다. 자기애와 자신감 부족이 결합(結合)할 때, 사회적 지위를 염두(念頭)에 둔 고급문화와 자신의 욕구(慾求)를 드러내는 수단인 저급문화 모두에 대한 소비 심리가 생긴다는 것이다. 연구팀은 개인의 기질(器質)이 문화를 소비하는 방식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확인했다는 점에 이번 연구의 의미를 담았다. 단, 고급문화와 저급문화의 경계가 무엇인지, 나르시시즘보다 더 큰 영향을 미치는 성격적 특징(特徵)은 없는지 살피는 후속 연구가 나와야 할 것으로 보인다.

여기서 한 인간의 성격이 문화를 즐기는 면에서 나타내는 소비에 대해 알아보았다. 저급문화와 고급문화의 차원을 떠나 자기애가 넘치거나 자신감이 부족한 사람은 각각 자신의 성향을 드러냈다. 즉 자기애(自己愛)가 강한 사람일수록 다양문화(多樣文化)를 ‘잡식(雜食)’한다. 그만큼 자신감이 넘친다는 말이 된다. 그러나 자신감이 부족한 사람일수록 사회적 지위를 염두(念頭)에 둔 고급문화와 자신의 욕구(慾求)를 드러내는 수단인 저급문화 모두에 대한 소비 심리가 생긴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문화 잡식 작가 맥도웰, 체홉, 봉준호는 모두 자기애(自己愛)가 강한 사람들이다. 이 말은 자연스럽게 그들의 문화심리(文化心理)와도 연결된다. 이들의 공통점(共通點)은 배우와 연출과 작가의 상상력(想像力)뿐만 아니라 관람객(觀覽客)의 상상력도 기반이라고 환기(喚起)시킨다. 상상력은 어디든지 갈 수 있는 힘이다. 글쓰기는 두려움을 극복(克服)하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관람객이 가지고 있는 맥박(脈搏)과 영화의 맥박이 일치되게 만드는 것이다. 그 맥박 수를 찾기 위해 영화(映畫)를 만든다.

반응형
반응형

공유하기

facebook twitter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